컨텐츠 바로가기

06.24 (월)

'체코 트럼프'의 위기… "총리 퇴진" 25만명 거리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머니투데이 정한결 기자] [벨벳혁명 이후 최대 규모 시위… 부패 스캔들, 언론·사법 독립성 훼손 비판]

머니투데이

/사진=로이터.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체코에서 공산정권을 붕괴시킨 '벨벳혁명' 이후 최대 규모의 반정부 시위가 발생했다. 25만명이 거리에 모여 '체코 트럼프'로 불리는 안드레이 바비스 총리의 퇴진을 요구하고 나섰다.

23일(현지시간) CNN 등에 따르면 이날 25만명(주최 추산)이 넘는 체코 시민들이 수도 프라하 레트나 플레인 공원에 모여 부패 사건에 연루된 바비스 총리의 퇴진을 요구했다.

이는 1989년 체코의 공산정권을 붕괴시킨 '벨벳혁명' 이후 최대 규모의 시위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벨벳혁명도 레트나 공원에서 시작됐다면서 "체코 시민들이 독재정권을 쫓아낸 신성한 땅에 모였다"고 강조했다.

억만장자인 바비스 총리는 농업 재벌기업 '아그로페르트'의 창업자로, 체코에서 두 번째로 부자다. 재무부 장관을 지내다 지난 2017년 총리직에 올랐다. 현지 언론들은 그가 기업인 출신인 데다가 반유럽연합(EU)·반이슬람·반이민·반부패 등의 포퓰리스트 공약을 내세운 점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닮았다며 '체코 트럼프'라고 부르기도 했다.

그러나 바비스 총리는 EU 보조금 200만유로(26억원)를 타내기 위해 불법적인 수단을 동원했다는 의혹을 받아 왔다. 이에 지난 4월 경찰은 그에게 사기 혐의가 있다고 발표했으며, 이달 초에는 이를 다룬 EU집행위 보고서가 현지 언론에 유출됐다. 대기업인 아그로페르트가 중소기업 지원 목적으로 설립된 EU 보조금을 받을 수 없으며 보조금을 체코 정부에 다시 반납해야 한다는 내용이다.

바비스 총리는 경찰의 수사 발표 후 법무부 장관을 해임하고 측근을 앉히면서 삼권분립의 독립성을 해치고 있다는 비판도 받는다. 또 아그로페르트는 체코 최대 일간지 두 곳을 소유하고 있는데 언론 중립성도 훼손시키고 있다는 비판이 나온다. 바비스 총리는 이 같은 혐의를 전면 부인하면서 자신에 대한 비판을 "체코 공화국에 대한 공격"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체코 시민들은 경찰 수사 결과가 발표된 지난 4월부터 퇴진 요구 시위를 이어나가고 있다. 시위대는 아그로페르트가 정부로부터 과도한 지원을 받고 있다면서 특혜를 중단하고 보유한 언론사를 매각하라고 요구하고 있다.

시위 참가자인 사이몬 바르치는 "우리가 지난 30년 간 다져온 민주주의를 그가 파괴하려고 한다"면서 "법치주의가 지켜지지 않던 동구권 시대로 회귀하고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체코 야당도 오는 26일 바비스 총리에 대한 불신임투표를 부쳤지만 가결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그가 설립한 정당 '불만 있는 시민들의 행동(ANO)'이 아직도 의석수를 제일 많이 차지한 가장 인기 있는 정당이기 때문이다. ANO는 부패 스캔들 논란이 이미 확산된 지난달 말 열린 EU의회 선거에서 핵심지지층인 중장년층과 농촌의 지지에 힘입어 여당 자리를 유지했다.

체코 마사리크 대학의 루보미르 코포체크 정치학 교수는 "바비스 총리가 이번 시위를 견디고 살아남을 가능성이 크다"면서 "다만 정치적 교착상태에 빠지면서 오랜 기간 집권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전망했다.

정한결 기자 hanj@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