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6 (일)

폼페이오 “北과 실무협상, 당장 시작할 준비 됐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金ㆍ트럼프 친서외교에 “北 비핵화 위한 새 대화 희망”

-“실무협상 재개 가능성 상당히 높다…지금이라도 준비돼”

-“2차 북미회담 종료 때보다 북미 상황 더 나아”

헤럴드경제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이 23일(현지시간) 사우디ㆍUAE로 떠나기 전 앤드류스 공군기지에서 기자들과 만나 질의응답하고 있다. 그는 이날 북미 간 친서외교가 비핵화 관련 양국 실무협상 재개 가능성을 상당히 높였다고 했다. [AP]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헤럴드경제=윤현종 기자]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은 23일(현지시간) 지금이라도 당장 북한과 비핵화 관련 실무협상을 재개할 준비가 돼 있다고 말했다. 로이터 등에 따르면 폼페이오 장관은 이날 대이란 위기 국면 대응을 위해 항공편으로 사우디아라비아ㆍ아랍에미리트(UAE) 방문길에 오르기 직전 기자들과 만나 “(미국과 북한의 친서외교가) 북한 핵 프로그램 종료를 목적으로 하는 새로운 대화의 길을 닦길 희망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폼페이오 장관은 북미가 조만간 실무협상을 재개하는지 묻는 질문에 “북한이 이런 논의에 준비됐음을 보여준다면, 우리는 말 그대로 당장(at a moment’s notice) 대화를 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오늘 아침 나온 발언을 보면 아마도 가능성이 상당히 높다고 본다”고 했다. 그가 거론한 ‘오늘 아침 발언’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친서를 받고 23일 조선중앙통신을 통해 “트럼프 대통령의 정치적 판단 능력과 남다른 용기에 사의를 표한다”며 “흥미로운 내용을 심중히(깊고 중요하게) 생각해 볼 것”이라고 말한 것을 의미한다.

폼페이오 장관은 2차 북미정상회담이 합의 없이 끝난 이후 미국은 북한과의 협상 기반을 다지기 위해 노력해왔다며 “우리가 더 나은 지점에 있다고 본다”고 덧붙였다. 발언 맥락으로 볼 때 ‘우리’는 미국과 북한을 가리키는 것으로 보인다.

폼페이오 장관의 이같은 발언은 백악관이 김 위원장에 대한 트럼프 대통령의 친서 전달을 확인하고, 북한 측 반응까지 살핀 뒤에 나왔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비핵화 협상의 총괄이 직접 나서 빠른 협상 재개의 필요성을 재차 강조한 셈이다. 다만 그는 트럼프 대통령의 친서에 북미협상 재개의 실마리가 될 제안이 포함돼 있는지 등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았다.

로이터는 폼페이오 장관이 사우디ㆍUAE 출장을 마친 뒤 트럼프 대통령을 수행해 일본 오사카에서 열리는 주요20개국(G20) 정상회의와 곧바로 서울에서 열리는 한미정상회담에 참석할 것이라고 전했다.

한편 북한 조선중앙통신은 23일 오전 김 위원장이 트럼프 대통령의 친서에 만족을 표시했다는 발언을 전한 바 있다. 세라 샌더스 백악관 대변인은 같은 날 성명을 내고 트럼프 대통령이 친서를 보냈음을 확인했다.

factism@heraldcorp.com

- Copyrights ⓒ 헤럴드경제 & heraldbiz.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