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3 (일)

백악관, 친서 확인…미 국무 "북·미 실무협상 재개 가능성"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앵커]

백악관도 "트럼프 대통령이 김정은 위원장에게 편지를 보냈다"고 확인했습니다.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은 북·미 간 실무협상 재개 가능성이 매우 크다고 말했습니다. 북한이 준비만 돼 있으면 당장이라도 논의를 시작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워싱턴 연결합니다.

임종주 특파원, 우선 백악관 반응부터 살펴보겠습니다. 친서 전달 사실을 확인했군요?

[기자]

우리 시각으로 어젯밤(23일) 세라 샌더스 백악관 대변인이 "트럼프 대통령이 편지를 보냈다"고 확인했습니다.

두 정상 사이에 서신 교환 등을 통한 소통이 계속 진행돼 왔다고도 했습니다.

그동안 대화의 동력이 유지돼 왔음을 강조하려는 발언으로 보입니다.

다만, 친서 전달 시점이나 내용은 언급하지 않았습니다.

[앵커]

폼페이오 장관은 한발 더 나아갔습니다. 북·미 간 실무협상 재개 가능성이 매우 크다고 얘기했군요?

[기자]

예, 폼페이오 장관이 이란 문제를 논의하기 위해 중동 순방길에 오르면서 친서 관련 언급을 했습니다.

우선 들어보겠습니다.

[마이크 폼페이오/미 국무장관 : 친서가 보내진 건 사실입니다. 한반도 비핵화를 위해 북한과 중요한 논의를 이어가는 데 좋은 토대를 제공해줄 것으로 기대합니다.]

폼페이오 장관은 이어 북한에서 나온 발언을 보면 실무 협상 재개 가능성이 매우 크다고 생각한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북한이 준비만 돼 있으면 말 그대로 당장에라도 논의를 시작할 수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앵커]

미국 언론 반응도 짚어보겠습니다. 친서 공개 시점과 "흥미롭다"고 표현된 부분에 특히 주목하고 있죠?

[기자]

CNN은 G20 정상회담과 트럼프 대통령 방한을 일주일도 채 남겨두지 않은 지금 시점이 흥미롭다고 전했습니다.

북·미 대화의 모멘텀 유지에 긍정적일 것이라는 청와대 반응도 덧붙였습니다.

뉴욕타임스는 편지를 읽고 있는 김 위원장 사진과 함께, 지금 시점이 시진핑 주석 방북 이틀 후 라는 점을 주목했습니다.

또 CNBC는 "김 위원장이 흥미로운 내용을 심중히 생각해볼 것 이라고 말했다"는 부분을 핵심 내용으로 뽑아서 보도했습니다.

임종주 기자

JTBC, JTBC Content Hub Co., Ltd.의 모든 콘텐트(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by JTBC, JTBC Content Hub Co., Ltd. All Rights Reserved.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