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4 (월)

감전사고 사상자 5년來 2810명…여름철 3명중 1명꼴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60%가 '충전부 직접접촉' 원인…단순 장난에 의한 사고 267건

사상자 '40대' 66명 최다…10세 미만 영유아 비율 87.3% 달해

뉴시스

【서울=뉴시스】


【세종=뉴시스】변해정 기자 = 행정안전부는 여름 장마철이 다가오면서 감전 사고 위험이 높아지고 있다며 각별한 주의를 20일 당부했다.

행안부가 제공한 한국전기안전공사 자료에 따르면 2013~2017년 5년 간 발생한 감전 사고로 인한 사상자 수는 총 2810명(사망 129명·부상 2681명)에 달한다.

전체 사상자의 35%(988명)가 비가 많이 내리는 6~8월 여름철에 발생했다. 3명 중 1명꼴이다.

감전 사고의 원인으로는 콘센트 등 전기가 흐르는 충전부에 직접 접촉한 경우가 1646명(59%)으로 가장 많았다.

뒤이어 전기 회로의 연결 또는 단락(短絡)이 원인이 돼 생기는 아크에 의한 감전 사고가 28.7%(809명)였다. '누전' 9.4%(265명), '플래쉬오버' 1.9%(53명), '정전 유도' 1.0%(27명) 순이다.

감전 사고의 유형별로는 '전기공사·보수'가 1156건(41.1%)으로 가장 많았다.

'단순 장난·놀이'가 267건(9.5%)으로 '전기 운전점검'(248건·8.8%)과 '기계설비공사'(148건·5.3%) 보다도 훨씬 많았다.

연령대별로는 40대가 666명(23.7%)로 가장 많았다. 뒤이어 50대 583명(20.7%), 30대 552명(19.6%), 20대 338명(12.0%), 10대 미만 251명(8.9%), 61대 이상 247명(8.8%), 10대 97명(3.5%) 순으로 집계됐다.

특히 10세 미만 사상자 중에서는 영유아(0~5세)의 비율이 87.3%(219명)으로 높았다.

서철모 행안부 예방안전정책관은 "사리 분별이 어려운 어린이들이 물기가 있는 손으로 콘센트를 만지거나 전자기기를 가지고 놀다가 감전 사고가 나지 않도록 보호자의 주의가 필요하다"며 "평소 감전 사고의 위험성과 안전 수칙에 대한 교육에 신경써야 한다"고 조언했다.

hjpyun@newsis.com

▶ 뉴시스 빅데이터 MSI 주가시세표 바로가기
▶ 뉴시스 SNS [페이스북] [트위터]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