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2 (수)

북한, 이희호 여사 별세에 조문단 파견 가능성…DJ 서거 때도 보내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매일경제

2015년 평양을 방문한 이희호 여사


남북관계 개선을 위해 노력해온 이희호 여사가 10일 별세 북한이 조문단을 보내올 가능성에 관심이 쏠린다. 이 여사가 생전 북한을 방문했을 때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보여준 예우를 고려하면 조문단 파견 가능성은 커 보인다.

과거 북한의 조문단 파견이 단절된 남북대화를 이어가는 계기를 마련한 바 있어 조문단 파견 시 하노이 미북정상회담 결렬 후 경색된 남북관계에 돌파구가 될 것이란 기대도 나온다.

앞서 북한은 남북관계 개선에 기여한 주요 남측 인사의 장례에 조문단을 파견해왔다.

2009년 8월 18일 김대중 전 대통령이 서거하자 바로 다음 날 김정일 국방위원장 명의의 조전을 보냈다. 사흘 뒤인 8월 21일 김기남 노동당 중앙위원회 비서와 김양건 통일전선부장 등 6명으로 구성된 특사 조의방문단이 특별기로 서울에 도착했다.

조문단은 방한 첫날 조의를 표하고, 이틀째인 22일 현인택 통일부 장관을 만 이명박 정부 출범 이후 사실상 첫 남북 고위급 회담을 했다.

23일에는 청와대에서 이명박 대통령을 예방하고 김정일 위원장의 메시지를 전달했다. 조문단이지만 '남북관계 개선'을 위한 특사로서 임무까지 수행한 셈이다.

이번에도 북한이 중량급 인사가 포함된 조문단을 파견할 경우 이를 계기로 경색된 남북관계의 돌파구를 모색하는 조문정치가 이뤄질지 주목하는 이유다..

특히 과거처럼 대남사업을 담당하는 통전부장이 조문단에 포함될 경우 카운터파트인 김연철 통일부 장관과 접촉 가능성이 주목된다.

이 여사는 김정일 위원장에 대한 조문을 위해 2011년 12월 26일 북한을 방문, 김정일 위원장이 안치된 금수산기념궁전에서 상주 김정은 위원장을 만났다. 김정은 위원장이 집권 이후 만난 첫 남한 인사였다.

당시 북한은 이 여사의 숙소로 김대중 대통령 내외가 2000년 남북정상회담 때 사용한 백화원초대소를 제공하는 등 극진히 예우했다.

이 여사는 김정은 위원장의 초대로 2015년 8월에도 북한을 다녀왔다.

[디지털뉴스국]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