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경기버스 노사, 이번주 임단협 재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버스요금 인상 결정으로 파업을 유보했던 경기도내 버스 업계 노사가 이번주부터 노사간 임금·단체교섭을 재개한다.

28일 경기지역자동차노동조합(이하 노조) 등에 따르면 도내 20개 300인 이상 사업장 중 11곳이 이번 주 노사 간 임금·단체협상을 시작한다고 밝혔다

나머지 9곳 역시 다음 주부터 임단협에 돌입하거나 근무형태 변경에 따라 노사 간 임금 재협상을 진행할 계획이다.

도내 300인 이상 사업장의 버스는 총 6447대로, 전체 시내버스(1만584대)의 61%에 달한다.

협상의 핵심 쟁점은 주 52시간제 도입에 따른 인력 확충과 임금 보전이다.

오는 7월 1일부터 주 52시간 근로시간 단축이 시행되면 현재 주 68시간까지 가능한 근로가 52시간으로 줄어 1일 2교대제가 불가피하다.

이 때문에 300인 이상 버스 사업장은 전체 운전자 1만2256명의 18.4∼31.5%인 2250∼3862명의 추가 운전자를 확보해야 하는 상황이다.

노조는 버스 노동자 임금 중 기본급의 비중은 49%에 불과하고 연장근로 등에 따른 초과임금과 상여금은 각각 32%, 19%를 차지하는 급여체계 특성상 개별 근무시간이 줄어들 경우 생계가 어려워져 임금 인상이 불가피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반면 사측은 대규모 추가 채용이 필요한 상황에서 임금을 인상할 재정적 여력이 없다며 난색을 보이는 상태다.

경기도가 발표한 시내버스 200원, 광역버스 400원 요금 인상안을 놓고도 노사 간 입장차가 갈린다.

노조 측은 요금 인상 자체가 버스 파업을 목전에 두고 이뤄진 만큼 기사 처우개선을 위해 쓰여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반면 사측은 그간 적자 노선으로 인한 손해가 적지 않은 상황에서 인건비 부담을 늘리기는 어렵다고 맞서고 있다.

노조는 사별로 진행될 임단협은 타결이 어려울 것이라 판단, 노조 상임 기관을 통해 300인 이상 사업장 전체의 파업 여부를 두고 사측 대표들과 한꺼번에 조정회의를 진행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첫 조정회의 시기는 사별 임단협을 진행한 이후인 다음 달 중순이 될 것으로 노조 측은 내다봤다.

첫 조정회의에는 지난 14일 파업을 유보했던 15개 업체 소속 589대의 광역버스도 참여한다.

노조는 조정만료일이 오는 29일까지로 돼 있던 도내 14개 시·군의 준공영제 광역버스 15개 업체의 조정을 취하하고 향후 300인 이상 사업장과 한 테이블에서 함께 논의하기로 결정했다.

300인 이상 사업장의 근무형태가 1일 2교대제로 바뀔 경우, 현재 1일 2교대를 시행하고 있는 준공영제 업체들의 임금수준도 비슷한 수준으로 책정돼야 한다는 이유에서다.

또 일부 300인 미만 사업장의 경우도 내달 중순 이전에 노사 임금협상이 진행될 경우 300인 이상 사업장과 함께 조정회의에 들어갈 가능성도 있다.

노조 관계자는 “대다수의 사업장이 오는 7월부터 업무형태에 큰 변화를 겪게 되고 그에 따른 쟁점도 비슷해 한꺼번에 조정회의를 진행할 가능성이 매우 크다”며 “버스 노동자들의 근무여건이 개선되지 않을 경우 7월 1일부터 총파업에 돌입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경태영 기자 kyeong@kyunghyang.com

최신 뉴스두고 두고 읽는 뉴스인기 무료만화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