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이슈 5·18 민주화 운동 진상 규명

[5·18 기념식]`오월 광주, 정의로운 대한민국`…오늘 5·18 기념식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매일경제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제39주년 5·18민주화운동 기념식이 18일 오전 10시 광주 북구 국립 5·18민주묘지에서 열린다. 기념식은 5·18민주화운동의 의미와 역사적 사실을 전 국민이 공유하고 민주화의 가치 계승을 통한 '정의와 통합'의 메시지를 강조할 예정이다.

'오월 광주, 정의로운 대한민국!'을 주제로 펼쳐지는 올해 기념식은 각계 대표와 5·18 민주화운동 유공자, 유족, 일반 시민, 학생 등 5000여 명이 참석한다.

기념식은 오프닝 공연을 시작으로 국민의례, 경과보고, 기념공연, 기념사, 기념공연, '님을 위한 행진곡 제창' 순으로 1시간 동안 이뤄진다. 특히 이번 기념식에서는 '님을 위한 행진곡'을 제창하는 순서에 5·18 최후 항쟁지인 옛 전남도청에서 이뤄지는 오프닝 공연을 최초로 이원생중계해 역사성과 현장감을 동시에 제공한다.

오프닝 공연은 5·18 당시 희생된 한 고등학생의 일기를 바탕으로 작곡된 노래 '마지막 일기'로 시작한다. 밴드 블랙홀과 대학연합합창단의 현악 7중주가 연주한다.

애국가 제창은 5·18에 참여했던 학교인 전남대와 조선대 학생 대표 4명, 5·18 희생자 유족 4명이 주도하고 참석자 모두 함께 부른다.

기념공연에서는 5월 항쟁 당시 도청 앞에서 가두방송을 했던 박영순씨와 5월 27일 최후의 항전을 하다 총상을 입고 사망한 고등학생 고(故) 안종필 군 어머니 이정님 여사의 이야기가 소개된다.

기념식이 끝난 뒤에는 5·18희생자 묘역을 참배해 대한민국의 정의를 세우는 과정에서 숭고하게 희생된 고귀한 넋을 기릴 예정이다.

보훈처 관계자는 "5·18민주화운동은 더는 광주만의 5·18이 아니다"라며 "전 국민이 함께 공유하고 대한민국 민주화운동의 역사로 승화해 국민통합을 이끌어 나가야 한다는 기치와 메시지를 담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설명했다.

한편 5·18 민주화운동 기념일은 1980년 신군부 세력을 거부하고 민주화를 요구하며 일어났던 5·18의 민주·인권·평화의 정신을 계승하고자 1997년 5월 9일 국가 기념일로 제정됐다.

[디지털뉴스국 이유현 인턴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