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이슈 '미중 무역' 갈등과 협상

미국 관세폭탄 현실화면 자동차산업 직격탄…10만명 일자리 감소 우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미국의 ‘무역확장법 232조’에 따라 수입산 자동차에 관세(25%)가 부과될 경우 국내 자동차 산업엔 직격탄이 될 것으로 보인다. 우리나라의 대미(對美) 자동차 수출 의존도가 높은 상황에서 기존의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이 보장했던 자동차 수출 무관세 혜택이 사라지고 오히려 고율 관세가 부과되면 가격 경쟁력 하락으로 미국 현지 판매가 불가능해지기 때문이다.

14일 자동차업계는 미국의 수입산 자동차 관세 부과 범위와 관련해 모든 자동차와 부품에 대한 20~25% 관세를 부과하는 방안을 가장 우려했다. 현대ㆍ기아차의 경우 고율 관세가 부과되면 미국 현지 연간 판매량이 반토막 날 것으로 전망된다. 현대ㆍ기아차는 지난해 미국 판매량이 127만대로 이중 절반 가량인 60만대를 국내에서 생산해 수출했다. 현대ㆍ기아차는 미국에서 각각 앨라배마 공장과 조지아 공장을 운영하며 현지 수요에 대응하고 있지만, 국내 생산량(60만대)까지 대신하기엔 이미 생산능력이 한계에 이른 상태다. 국내 투자업계는 25% 관세 부과가 이뤄지면 현대ㆍ기아차의 연간 영업이익이 37% 곤두박질 칠 것으로 내다봤다. 자동차업계 관계자는 “경쟁이 치열한 미국 자동차 시장에서 지금보다 20% 이상 높은 가격으로는 판매가 불가능하다”며 “미국 자동차 관세 부과가 확정되면 다른 국가들도 자국 산업 보호를 위해 비슷한 조치를 내릴 것으로 예상돼 현대ㆍ기아차의 글로벌 판매량 전체가 휘청거릴 수 있다”고 우려했다.

다른 국내 완성차업체들도 상황은 마찬가지다. 한국GM은 스파크와 트랙스 등 미국 GM에 공급하는 물량이 연간 13만대에 달한다. 더욱이 한국GM은 오는 2020년부터 GM의 신형 글로벌 스포츠유틸리티차(SUV)를, 2022년부터는 신형 크로스오버스포츠유틸리티차(CUV)를 생산할 예정이다. 하지만 미국 관세가 부과되면 당장 기존의 수출 물량은 물론, SUV와 CUV 생산 계획조차 불발로 끝날 가능성이 높다. 르노삼성차도 부산공장에서 생산하는 닛산 로그 물량을 전량 미국으로 수출하고 있다. 르노삼성의 장기 파업으로 로그 생산 물량이 연 10만대에서 6만대로 축소된 상황에서 관세까지 부과돼 수출길이 막히면 부산공장은 한국GM의 군산공장처럼 폐쇄 수순을 밟을 수 밖에 없다. 업계 관계자는 “우리나라의 전체 자동차 수출 중 대미 수출이 차지하는 비중이 지난해 기준 33%에 달한다”며 “미국의 관세 부과가 이뤄질 경우 우리나라 자동차산업 총 생산이 8% 감소하고 제조업 분야에서 10만명의 고용 축소가 예상된다”고 설명했다.

다만 미국이 자율주행차, 커넥티드카, 전기차, 차량공유서비스 등 첨단 기술 차량에만 선택적으로 관세 부과를 결정할 경우 우리나라 자동차 업계는 그나마 한숨 돌릴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현대차 관계자는 “미국에 수출하는 전기차나 자율주행차 물량은 현재 많지 않다”면서 “첨단 차량에만 관세가 부과되면 미국 공장 추가 설립 등 대응할 수 있는 시간을 벌 수 있어 당장 피해가 발생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현우기자 777hyunwoo@hankookilbo.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