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이슈 '미중 무역' 갈등과 협상

미중 ‘관세 격돌’에 금융시장 출렁… 다우지수 장중 600P↓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한국일보

미국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트레이더들이 주식 거래를 하고 있는 모습. 연합뉴스


미국과 중국이 ‘관세 힘겨루기’에 돌입하면서 글로벌 금융시장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13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증시에서 다우존스 30 산업평균지수는 오전 10시20분 현재 547.4포인트(2.11%) 하락한 25,394.90에 거래됐다. 장중 600포인트 가까이 밀리기도 했다.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S&P) 500지수는 62.80포인트(2.18%) 내린 2,818.60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224.5포인트(2.84%) 하락한 7,692.44에 각각 거래됐다.

유럽 증시도 흔들리기는 마찬가지였다. 같은 시간에 독일 프랑크푸르트 증시의 DAX 지수는 210.47포인트(1.75%) 내린 11,849.36을, 프랑스 파리 증시의 CAC40 지수는 77.86포인트(1.46%) 하락한 5,249.58을 각각 나타내고 있다. 영국 런던 주식시장의 FTSE 100 지수는 46.87포인트(0.65%) 하락한 7,156.42로 상대적으로 낙폭이 작았다.

앞서 중국 상하이종합지수는 1.21% 하락한 2,903.71로 거래를 마쳤다. 중국 선전종합지수도 1.08%, 대만 자취안 지수는 1.44% 하락세로 각각 마감했다. 일본 닛케이 225는 21,191.28로 0.72%, 한국의 코스피는 2,079.01로 1.38% 각각 하락했다. 중국이 아시아권 증시의 마감 이후에 대미 보복관세를 발표한 만큼 14일 거래에서도 부정적인 충격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미중 무역갈등이 증폭하면서 글로벌 금융시장의 투자심리는 급격히 위축된 모양새다. 미국 뉴욕 금융가에서 ‘공포지수’라 불리는 시카고옵션거래소(CBOE) 변동성지수(VIX)는 30% 가량 상승하면서 20선을 넘어섰다.

상대적으로 안전자산인 국채와 금의 투자 매력은 부각되고 있다. 채권시장에서 미국 국채는 일제히 강세다. 채권 가격은 금리와 반대로 움직인다. 같은 시간, 벤치마크인 미국 10년물 국채 금리는 0.048%포인트 내린 2.407%를 나타냈다. 뉴욕상품거래소에서 6월 인도분 금은 온스당 0.78%(10.10달러) 상승한 1,297.50에 거래됐다.

양정대 기자 torch@hankookilbo.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