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6 (목)

이슈 강제징용 피해자와 소송

부산 강제징용 노동자상 설치장소 논의 원점…노동절 설치 무산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시의회, 원탁회의 추진대표단 활동 종료 선언

“100인 원탁회의 통한 결론도출 어려워”밝혀

1일까지 설치장소 결정하려던 계획은 무산돼

중앙일보

부산 노동자상 건립 특별위원회가 설치하려는 강제징용 노동자상. 송봉근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부산 강제징용 노동자상 설치장소 논의가 원점으로 되돌아갔다.

노동자상 건립을 위한 부산시민 100인 원탁회의 추진기구인 부산시의회는 “부산시·건립특위·시의회 간에 합의했던 5월 1일 이전 노동자상 설치와 관련해 100인 원탁회의를 통한 결론 도출이 어렵다고 판단하고 실무협의 기구인 100인 원탁회의 추진대표단 활동을 종료한다”고 30일 밝혔다.

시의회는 대신 “노동자상 건립을 위해 부산시·건립특위·시의회 등 3 주체가 건립 시기 시한 조정과 시민 의견 수렴 방안에 관한 허심탄회한 협의를 즉시 재개하자”고 제안했다. 설치 장소 논의를 앞으로 계속해나가겠다는 게 시의회 입장이다. 이에 따라 노동자상은 현재 임시로 설치된 동구 초량동 일본총영사관 인근 정발 장군 동상 옆 인도에 당분간 계속 두게 된다.

박인영 시의회 의장은 “약속한 기간 내에 시민 의견을 모아 노동자상을 원만하게 건립하려는 시도는 현재로써는 미완이라 말씀드릴 수밖에 없다”며 “풀기 어려운 사회적 갈등을 대화와 합의로 풀어나가는 첫 번째 시도인 만큼 진통이 있더라도 대화를 지속해나가자는 요청을 간곡하게 드린다”고 말했다.

중앙일보

부산 노동자상 건립 특별위원회가 설치하려는 강제징용 노동자상. 송봉근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앞서 부산시와 부산시의회, 강제징용노동자상 건립특별위원회는 지난 17일 시민이 참여하는 100인 원탁회의를 구성하고, 지난 28일 오후 원탁회의에서 노동자상 설치장소를 정하기로 합의한 바 있다. 이의 추진을 위해 시의회, 건립특위, 시민사회단체 관계자 8명이 참여하는 100인 원탁회의 추진대표단을 구성·운영하기로 했다.

하지만 100인 원탁회의 추진대표단 내부의 이견으로 원탁회의에 참여할 100인 구성에 실패했다. 건립특위 측이 노동단체 관계자의 많은 참여를 주장하는 등 100인 구성 비율을 놓고 합의를 이루지 못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5월 1일 전까지 원탁회의가 지정하는 장소에 노동자상을 설치하려던 계획은 무산됐다. 건립특위는 앞으로 설치장소를 놓고 부산시와 직접 협상에 나설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12일 부산시가 강제 철거해 남구 대연동 국립 일제강제동원 역사관에 옮겨 보관해온 노동자상은 지난 24일 건립특위에 반환돼 동구 초량동 일본총영사관 인근 정발 장군 동상 옆 인도에 임시 설치돼 있다. 건립특위는 노동절인 1일 이의 고정화 작업을 하지 않을 것으로 전해졌다.

한편 노동자상 설치 장소로는 동구 초량동 정발 장군 동상 옆 쌈지공원, 국립 일제강제동원 역사관, 부산역 광장 등이 거론되고 있다.

부산=황선윤 기자 suyohwa@joongang.co.kr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이슈를 쉽게 정리해주는 '썰리'

ⓒ중앙일보(https://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