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6 (목)

이슈 강제징용 피해자와 소송

'강제징용노동자상, 어디로 가야 하나' 설치장소 논의 다시 원점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100인 원탁회의 추진대표단, 구성도 못 하고 소득없이 활동 종료

부산시의회 "5월 1일 이전 결론 불가…3자 대표 다시 합의해야"

연합뉴스

일제강제동원역사관에 설치된 노동자상
[연합뉴스 자료사진]



(부산=연합뉴스) 조정호 기자 = 부산시의회가 중재에 나섰던 강제징용 노동자상 설치장소 문제가 결국 원점으로 돌아갔다.

부산시의회는 "부산시·건립특위·시의회 간에 합의했던 5월 1일 이전 강제징용 노동자상 설치와 관련해 100인 원탁회의를 통한 결론 도출이 어렵다고 판단하고 실무협의 기구인 '100인 원탁회의 추진대표단' 활동을 종료한다"고 30일 밝혔다.

시의회는 "강제징용 노동자상 건립을 위해 부산시·건립특위·시의회 등 3주체가 건립 시기 시한 조정과 시민 의견 수렴 방안에 관한 허심탄회한 협의를 즉시 재개하자"고 제안했다.

박인영 시의회 의장은 "100인 원탁회의 구성을 추진했으나 약속한 기간 내 시민 의견을 모아 노동자상을 원만하게 건립하려는 시도는 현재로서는 미완"이라며 "풀기 어려운 사회적 갈등을 대화와 합의로 풀어나가는 첫 번째 시도인 만큼 진통이 있더라도 대화를 지속해나가자는 요청을 간곡하게 드린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노동자상 반환 합의…원탁회의서 설치장소 결정
(부산=연합뉴스) 김재홍 기자 = 17일 오전 부산시의회 브리핑룸에서 김재하 민주노총 부산본부장(왼쪽부터), 박인영 부산시의회 의장, 오거돈 부산시장이 강제징용 노동자상 반환 등 내용을 담은 합의문을 발표한 뒤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2019.4.17 pitbull@yna.co.kr



부산시, 부산시의회, 시민단체는 지난 17일 시민 등이 참여하는 100인 원탁회의를 열어 강제징용노동자상 설치장소를 정하기로 합의했다.

이어 시의회, 건립특위, 시민사회단체 등 8명이 참여하는 '100인 원탁회의 추진대표단'이 수차례 회의를 열고 논의를 했으나 100인 구성을 두고 이견을 보였다.

이 때문에 28일 예정된 100인 원탁회의가 취소된 바 있다.

부산시가 강제로 철거해 일제강제동원역사관으로 옮겨 보관해온 노동자상은 건립특위에 반환돼 현재 동구 초량동 정발 장군 동상 옆 인도에 있다.

협의 과정에서 노동자상 설치 장소로 동구 부산역 광장, 초량동 정발 장군 동상 옆 쌈지공원, 남구 대연동 국립 일제강제동원역사관, 부산진구 부산시민공원 등이 거론됐다.

ccho@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