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경기도 먹거리위원회, ‘2019~2023년 경기도먹거리 전략’ 제안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143개사업에 2조1574억여원 투자

道 각 부서 검토·9월 먹거리위 본위원회 확정 뒤 시행

뉴스1

경기도청사 © 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경기=뉴스1) 진현권 기자 = 경기도 먹거리 위원회가 정부 '먹거리전략' 수립의 후속조치로 ‘2019~2023년 경기도먹거리 전략안’을 마련, 최근 경기도에 추진을 건의했다.

먹거리 전략안은 경기도 및 도교육청 각 부서 검토를 거쳐 9월 먹거리위원회 정례회 확정을 거쳐 본격 추진될 예정이다.

20일 도에 따르면 먹거리위원회는 지난 1월 출범 이후 분과위원회(5개), 전체위원회 등을 거쳐 2019년부터 2023년까지 5년동안 추진할 ‘먹거리 전략안’을 마련했다.

‘먹거리 전략안’은 Δ도민들에게 우수한 먹거리 보장 Δ행복한 식생활 문화 조성 Δ지역농업과 연계한 먹거리 지속성 강화 Δ민관합동의 먹거리전략 실행체계 확보 등의 내용을 담고 있다.

먹거리위원회는 이를 위해 경기농산물 지킴이 사업 등 기존 61개사업, 먹거리 취약계층 식재료 현물지원사업 등 신규사업 82개사업 등 총 143개사업 추진을 경기도에 건의했다.

전체사업비는 2조1574억400만원(국비 912억2300만원, 도비 1조1687억6400만원, 시군비 8638억300만원, 기타 336억1400만원)이 투입된다.

이 기간 동안 핵심목표로 취약계층 먹거리 부족비율 감축(41.3%→27.5%), 공공분야 지역 농산물 공급 확대(4000억원→1조원), 아침결식률(주 3일 이상) 감축(39.2%→33.7%), 시군별 먹거리 위원회 구성(0개→31개) 등이 제시됐다.

이를 전락목표 및 핵심과제별로 보면 우선 도민에게 우수한 안전한 먹거리 보장을 위해 기초 생활수급자 생계급여 중 부족한 식품비를 지원하고, 어린이 과일 간식, 임산부 영양플러스, 노숙인 무료 급식 등 연령별로 맞춤 지원을 확대한다.

또 지역농업과 연계한 먹거리 지속성을 강화하기 위해 학교급식 지역에 친환경농산물 공급을 초중학교에서 고등학교까지 확대하고, 취약계층 먹거리 지원사업과 공공기관 급식 등에서 지역농산물을 우선 구매토록 추진한다.

도민의 건강하고 행복한 식생활 문화 조성을 위해선 공교육과 연계한 식생활 교육을 내실화(식생활교육 실태 파악 및 성과 평가 모니터링 등)하고, 식생활교육 인프라도 확충(시군별 식생활교육위원회 구성 및 식생활교육지원센터 지정, 식생활 전문인력 육성 등)한다.

이와 함께 민관합동의 먹거리전략 실행체계 확보를 위해 먹거리 정책 실행체계를 정비(먹거리 보장 기본조례 제정 및 먹거리 위원회 구성)하고, 시군과 먹거리 정책 협치를 강화(시군 먹거리 실태파악 및 먹거리 전락수립지원, 시군 공공분야 먹거리 유통시스템 구축 등)한다.

이를 주요 사업별로 보면 도교육청 학교급식비 지원에 5165억원, 결식아동 급식지원에 1490억8000만원, 친환경 농산물 학교급식 지원에 1470억원, 취약계층 식재료 현물지원 사업에 864억원, 어린이 건강과일 공급사업에 524억5000만원, 친환경 축산물 학교급식 지원에 550억원, 유치원 친환경급식 차액 지원에 154억원 등을 투입한다.

경기도는 먹거리 위원회가 제안한 사업을 각 부서별로 검토해 세부 계획을 수립할 계획이다. 먹거리 전략안은 오는 9월 먹거리위원회 본위원회에서 확정 뒤 사업비 확보를 거쳐 본격 시행될 예정이다.

도는 앞서 지난해 1월 문재인 정부의 ‘먹거리전략’ 수립의 후속조치로 ‘경기도 푸드플랜 T/F’를 구성해 전문가 토론회, 연구용역(2018년 5~2019년 3월)을 거쳐 지난해 12월 경기도 먹거리 보장 기본조례를 제정했다.

이어 지난 1월 경기도, 도교육청, 도의회, 시장·군수, 민간위원 등 43명이 참여하는 ‘경기도먹거리 위원회’를 출범시켰다.

도 관계자는 “먹거리위원회가 최근 ’경기도 먹거리 전략안‘을 마련해 제안했다”며 “제안한 사업은 각 사업 부서 검토를 거쳐 오는 9월 먹거리위원회에서 최종 확정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jhk102010@news1.kr

[© 뉴스1코리아(news1.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