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육아·가사 부담 여성 편중 여전…아내·남편 비중 7대3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육아정책연구소 총 500명 설문조사…맞벌이 부부도 비슷

주중 자녀와 놀이시간 엄마 3시간24분· 아빠 1시간33분

연합뉴스

어린이집으로 걸어가는 엄마와 아이
[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연합뉴스) 신재우 기자 = 육아와 가사는 여성의 몫이라는 인식이 바뀌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홑벌이 가구뿐만 아니라 맞벌이 가구에서도 아내는 남편보다 2배 이상의 육아·가사 부담을 지고 있었다.

21일 육아정책연구소의 '행복한 육아문화 정착을 위한 육아정책 여론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영유아를 키우는 어머니와 아버지 250명씩 총 500명에게 '영유아 자녀를 돌보는데 부모가 어느 정도 역할을 분담하느냐'고 질문한 결과, 양육 부담을 총 10이라고 했을 때 평균적으로 어머니 7.0, 아버지 3.0으로 응답했다.

가사 분담에서도 평균적으로 어머니 7.0, 아버지 3.0으로 조사됐다.

여성의 육아·가사 부담은 맞벌이 가구에서도 큰 폭으로 감소하지 않았다.

맞벌이 가구는 자녀 양육에 있어 어머니가 6.7, 아버지가 2.7 참여한다고 답했고, 가사도 어머니 6.8, 아버지 3.2 비중으로 분담한다고 응답했다.

이는 홀벌이 가구가 자녀 양육과 가사에서 각각 어머니 7.3, 아버지 2.7 비중으로 역할을 한다고 답한 것과 큰 차이가 없다.

연구소는 "맞벌이 가구에서조차도 어머니와 아버지의 육아 및 가사 분담 비중은 어머니가 2배 이상 많다"며 "육아와 가사가 여성 몫이라는 인식이 여전히 자리 잡고 있음을 엿볼 수 있는 대목"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행복한 육아문화 정착을 위한 KICCE 육아정책 여론조사'



구체적으로 자녀 양육과 관련해 '집안일(식사준비, 빨래 등)을 하는 사람'은 어머니 83.0%, 아버지 12.4%, '자녀에게 밥을 먹이고 옷 입기를 도와주는 사람'도 역시 어머니 83.0%, 아버지 12.4%였다.

'자녀 등·하원을 도와주는 사람'은 어머니 69.6%, 아버지 18.4%로 집계됐다. '자녀와 놀아주고 책 읽어주는 사람'은 어머니 58.2%, 아버지 37.4%로 아버지 비중이 상대적으로 조금 높았다.

첫 자녀를 기준으로 어머니가 자녀와 놀이를 하는 시간은 주중 평균 3시간 24분, 주말에 5시간 29분이고, 아버지는 주중 평균 1시간 33분, 주말 4시간 49분이었다.

주중이든 주말이든 어머니가 아버지보다 자녀와 더 많이 놀아주고 있으며, 아버지는 주로 주말을 이용해 자녀와 놀아주고 있었다.

자녀와의 놀이시간을 계산하는 데 있어 아내와 남편은 인식차도 드러냈다.

응답자가 어머니인 경우에는 아버지가 쓴 시간을 주중 1시간 17분, 주말 4시간 20분이라고 인식해 아버지들이 대답한 것보다 짧았다고 생각했다.

연합뉴스

아빠의 육아
[연합뉴스TV 제공]



withwit@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