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한국은행, 내주 1분기 경제성장률 발표…정부 추경안 25일 국회 제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다음 주에는 올해 한국경제의 첫 성적표라고 할 수 있는 1분기 경제성장률이 발표됩니다.

정부는 선제적 경기 대응을 위해 7조원 미만으로 편성한 추가경정예산안을 국회에 제출할 예정입니다.

한국은행은 25일 1분기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수치(속보치)를 발표합니다. 1분기 경제성장률은 전기 대비 0%대 초반으로 떨어질 가능성이 크다는 관측이 많습니다.

예측치를 크게 벗어나지 않을 경우 2017년 4분기(-0.2%) 이후 5분기 만에 가장 낮은 성장률을 나타낼 것으로 보입니다.

한국은행이 지난 18일 올해 GDP 성장률 전망치를 종전 2.6%에서 2.5%로 하향 조정한 것은 연초부터 수출을 중심으로 지표 악화가 당초 예상보다 컸기 때문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대체적인 시각입니다.

실제로 수출액은 1분기 내내 전년 동기 대비 줄어들었습니다.

정부는 2019년 추가경정예산안을 24일 국무회의를 거쳐 25일 국회에 냅니다.

문재인 정부 들어 3번째로 편성되는 이번 추경은 7조원 미만 규모로 경기 하방 위험에 대한 선제적 대응 사업과 미세먼지 대응, 재난피해 복구 지원에 투입됩니다.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지난 10일 기자들과 만나 "전체적으로 추경 규모가 7조원을 넘지 않을 것으로 생각한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더불어민주당과 정부는 5월 임시국회 회기 내에 이번 추경안을 처리하기로 합의한 바 있습니다.

통계청은 24일 2월 인구동향을 내놓습니다.

1월 출생아는 3만300명으로 1년 전보다 6.2% 감소해 1월 기준 월별 통계집계가 시작된 1981년 이후 가장 적었습니다.

한국은행은 같은날 3월 무역지수 및 교역조건을 발표합니다. 수출 부진 속에 2월엔 가격변동을 고려한 수출물량지수마저 하락으로 전환해 우려를 키운 바 있습니다. 3월 들어 수출물량 부진이 완화됐는지가 관심 포인트입니다.

통계청은 25일에는 2018년 가계동향조사(지출부문) 결과를 내놓습니다.

앞선 2017년 우리나라 1인 이상 가구의 월평균 소비지출 규모는 가계별 소득에 따라 극과 극이었습니다. 소득 하위 20%(1분위)는 2017년 월평균 114만6천원을, 소득 상위 20%(5분위)는 433만1천900원을 각각 소비해 4배 가까이 차이가 났습니다.

같은날 한은은 1분기 외국환은행의 외환거래동향을 공개합니다. 금융기관의 외환거래 규모 변화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26일에는 경기판단지표인 4월 소비자동향조사 결과가 나옵니다. 3월까지 소비심리가 넉 달 째 점진적으로 개선되는 모습을 보인 가운데 이런 추세가 이어질지가 관심입니다.

[MBN 온라인뉴스팀]

< Copyright ⓒ MBN(www.mbn.co.kr)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