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0.07 (월)

스트레스 세포 역할 새롭게 규명...카이스트 서성배 교수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카이스트(KAIST)은 생명과학과 서성배 교수팀은 스트레스 세포(CRF 세포)의 활동을 초 단위로 촬영하고 새로운 역할을 밝혀내는데 성공했다고 18일 밝혔다.

스트레스에 대한 생리 반응을 조절하는 영역은 시상하부·뇌하수체·부신 축(HPA Axis)으로, 부신피질 자극 호르몬 방출 인자(CRF)의 영향으로 조절된다.

세계일보

스트레스 세포의 역할을 새롭게 규명한 카이스트 서성배(사진 좌측)교수와 김진은 박사과정.


시상하부 영역의 CRF 세포는 다양한 스트레스에 자극을 받아 스트레스 세포로도 불린다.

CRF 세포가 활성화하면 동물의 부정적 감정이 커진다는 가설은 예전부터 있었다.

그러나 단위 측정 시간(30분)이 짧고, 실험체를 부검해야 호르몬 변화를 파악할수 있다는 한계가 있었다.

연구팀은 미국 뉴욕대와의 공동연구를 통해 생쥐 두뇌 시상하부 영역 CRF 세포 활성도를 초 단위로 측정하는 파이버포토메트리(fiberphotometry)를 도입했다.

이어 긍정적·부정적 감정 판단을 유도하는 다양한 자극에 쥐를 노출해 세포 반응성을 살폈다.

그 결과 시각적 자극이나 천적 오줌 냄새 같은 위협적 외부 자극에 따라 쥐가 도망갈 때 CRF가 빠르게 활성화했다. 반대로 맛있는 음식이나 이성 생쥐 등 긍정적 판단을 유도하는 자극에 노출하면 CRF 활성도가 억제됐다.

서 교수는 “냄새와 시각적 자극으로 음식을 섭취하기 이전부터 CRF 세포가 감소하는 부분이 흥미로웠다”며 “그간 알려진 시상하부 영역 세포와는 차별성이 있는 역할”이라고 말했다.

생쥐들이 배가 불러도 더 맛있는 음식에 노출되면 CRF 세포 활성도가 감소하는 점도 혁신적인 패러다임 전환이라고 연구팀은 덧붙였다.

연구팀은 아울러 CRF 세포를 자극해 인위적으로 특정 환경을 싫어하거나 좋아하게 만들 수 있다는 점을 확인했다.

CRF 세포가 다양한 자극에 대한 긍정적·부정적 판단을 통해 적절한 행동 반응을 이끌 수 있다는 뜻이다.

서 교수는 “동물의 본능적 감정 판단에 대한 실마리가 될 수 있는 결과로, 우울증·불안장스트레스 등의 치료제 개발에 발판이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김진은 박사과정생이 1 저자로 참여한 연구 논문은 ‘네이처 뉴로사이언스’(Nature Neuroscience) 4월호에 실렸다.

대전=임정재 기자 jjim61@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 Segye.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