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7 (월)

이슈 고령사회로 접어든 대한민국

등록장애인도 고령화 심각…10명 중 6명 60대 이상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전체 인구 중 5%(258만5876명), 농촌 거주자 보다 많아

3명 중 1명 장애 인프라 나은 서울·경기 거주

이데일리

연도별 등록장애인 수 및 전체 인구 대비 비율(자료=보건복지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데일리 이지현 기자] 지난해 등록장애인은 전체 인구 중 5%로 농가 인구 비중(4.5%)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18일 보건복지부의 2018년도 등록장애인 현황에 따르면 등록장애인은 258만5876명으로 집계 됐다. 지난해 12월 기준 농가인구가 231만5000명이었다는 점을 감안하면 농촌에 사는 사람보다 등록 장애인이 더 많은 것이다.

가파른 고령화 추세는 장애인구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70대 57만3000명(22.2%), 60대 57만1000명(22.1%), 80대 이상 36만3000명(14%) 등으로 60대 이상이 58.3%나 된다. 10명 중 6명이 60대 이상인 셈이다.

이 외에 연령은 △50대 49만3000명(19.1%) △40대 26만6000명(10.3%) △30대 13만6000명(5.2%) △20대 9만5000명(3.7%) △10대 6만1000명(2.3%) △10대 미만 2만9000명(1.1%) 등으로 파악됐다.

성별로 보면 남성(150만명)이 여성(109만명)보다 41만명 더 많았다. 장애 유형별로는 △지체장애(123만9000명, 47.9%) △청각(34만2000명, 13.2%) △뇌병변(25만3000명, 9.8%) △시각(25만3000명, 9.8%) △정신(10만2000명, 4%)순으로 많았다.

특히 지체장애는 10년 전과 비교해 53.2%(2009년)에서 47.9%(2018년)로 5.3%포인트 줄었다. 반면 같은 기간 발달장애(6.9%→9%)와 신장장애(2.2%→3.4%)는 증가 추세를 보였다.

등급별로 보면 경증에 해당하는 4~6급 등록장애인은 160만명(62%)으로 가장 많았고 중증에 해당하는 1~3급 등록장애인은 99만명(38%)이었다.

지역별로는 경기에 거주하는 등록장애인이 54만7000명(21.2%)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서울 39만3000명(15.2%) △경남 18만6000명(7.2%) △경북 17만7000명(6.8%) △부산 17만4000명(6.7%) △전남 14만2000명(5.5%) △충남 13만2000명(5.1%) △전북 13만2000명(5.1)△대구 12만3000명(4.8%) 등 순이었다.

세종에 사는 등록장애인은 1만1000명(0.4%)으로 가장 적게 거주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권병기 장애인 정책과장은 “매년 등록장애인의 추이 분석을 통해 장애인의 특성에 맞는 적절한 복지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