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태호 일반인 희생자 대책위원장 "추모관은 상징적 의미"
인터뷰하는 전태호 세월호 일반인 희생자 대책위원장 |
(인천=연합뉴스) 최은지 기자 = 참사 1천800일을 넘겨 찾은 세월호 일반인 희생자 추모관은 5년 전 기억을 그대로 붙들고 있는 듯했다.
추모관 벽에 걸린 TV 뉴스 영상 속에서 세월호는 끊임없는 침몰을 되풀이했다. 희생자들의 빛바랜 유품은 참사 당시 수습된 그대로였다.
유족들의 시간 역시 그대로 박제된 듯 그때로부터 크게 벗어나지 못했다. 환한 봄이 다시 돌아왔지만, 아직 해결되지 못한 과제와 아픔은 여전했다.
인천시 부평구 인천가족공원 내 추모관에서 만난 전태호 세월호 일반인 희생자 대책위원장은 11일 "'아직도 몇몇 분들은 세월호 이야기냐'거나 '아직도 안 끝났어?'라고 묻는다"고 했다.
참사 초기 단원고 희생자들에게 관심이 쏠려 상대적으로 뒤편에 밀려나야 했던 일반인 희생자 유족들은 이 같은 무관심에서 받는 상처가 그만큼 더 컸다.
자전거 동호회원들과 제주도 여행을 떠난 아버지를 한순간에 잃어야 했던 전 위원장도 마찬가지였다.
추모관에 전시된 세월호 모형 |
전 위원장은 "어쨌든 유가족들은 어떻게든 당시 상황을 덮으려는 은폐 세력을 피해 무조건 진상을 캐야 하는 상황이고 그 싸움에도 상당한 시일이 걸리지 않겠느냐"며 "앞으로 10년은 더 걸릴 것"이라고 한숨을 내쉬었다.
이어 "왜 구조할 수 있는 상황인데도 하지 않았고, 그걸 은폐하기 위해서 뭘 했고 이런 것들이 더욱 확실히 드러나야 한다"며 "그게 조사되면 원인이나 경위를 비롯해 다른 부분은 자동으로 밝혀질 것"이라고 힘주어 말했다.
전 위원장을 비롯한 일반인 희생자 유족 3명은 계약직 직원 2명과 이곳에 상주하며 추모관을 돌보고 있다.
이들에게 이 추모관은 '국가도 잘못을 저지르면 그 책임을 져야 한다'는 것을 의미하는 매우 상징적인 공간이다. 그만큼 이곳을 안정적으로 운영하는 것은 진상 규명과도 비슷한 무게를 지닌 과제라고 했다.
이곳 추모관에는 단원고 학생과 교사를 제외한 일반인 희생자 45명 중 41명의 봉안함이 안치돼 있다. 지난해에만 시민 2만2천여명이 추모관을 찾아 이들의 넋을 기렸다.
전 위원장은 "전쟁을 제외하고 발생한 국가적 재난 사고 가운데 정부가 희생자를 기리는 추모관을 건립한 건 이곳 세월호 추모관이 유일하다"며 "그 첫 단추를 저희가 뀄으니 이제 잘 이어가는 것이 급선무"라고 덧붙였다.
인터뷰하는 전태호 세월호 일반인 희생자 대책위원장 |
한때 운영 예산이 제대로 지원되지 않아 추모관이 문을 닫은 적도 부지기수였다.
2016년 4월 개관한 뒤에도 예산 문제로 휴·개관을 반복하던 2017년 1월에는 '국가의 무능함으로 인해 잠시 휴관한다'며 유가족들이 직접 문을 걸어 잠그기도 했다.
16일 인천시에 따르면 올해는 추모관 운영 예산 2억5천만원이 시 본예산에 반영됐다. 그러나 이 역시 지속성을 담보하려면 국가의 '관심'이 가장 중요하다고 유족들은 호소했다.
문 닫은 세월호 일반인 희생자 추모관 |
전 위원장은 "급선무는 정부나 지자체에서 관심을 많이 가져주는 것"이라며 "직원들도 8개월 계약이어서 이들이 나가면 1년 예산에 맞게 4개월짜리 고용을 해야 해 현실적인 개선책이 필요하다"고 촉구했다.
그는 이어 "추모관을 안전 교육장으로 사용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며 "비슷한 참사가 되풀이되지 않도록 단체 학생들이 오면 안전 교육을 해 줄 수 있는 시청각실이나 전시 공간을 더 확충할 수 있었으면 한다"고 바랐다.
chamse@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