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9.25 (수)

이슈 책에서 세상의 지혜를

민족과 미래를 노래한 신동엽… 그의 詩세계 되새긴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타계 50주기 맞아 다양한 행사 열려

동아일보

왜소한 체구에 병약했던 신동엽 시인. 시대를 노려보는 매서운 정신으로 김수영 시인과 함께 한국 민중문학의 포문을 열었다. 소명출판 제공


‘껍데기는 가라’ ‘4월은 갈아엎는 달’….

신동엽 시인의 시는 1960년대에 주로 발표됐으나 1970, 80년대에 널리 읽혔다. ‘저항’ ‘혁명’ ‘민족’을 노래한 그의 시는 엄혹한 시절 대학가의 정신을 지배했다. 1969년 4월 7일 간암으로 39세에 그가 세상을 떠난 지 올해로 50년. 더 큰 틀에서 작품 세계를 조명하려는 움직임이 일고 있다.

동아일보

오른쪽 사진은 1964년 5월 서울 창경궁에서 함께한 누이 신명숙, 장남 신좌섭, 부인 인병선, 신동엽 시인, 장녀 신정섭(왼쪽부터). 1967년 1월 ‘52인 시집-현대한국문학전집’ 제18권에 수록된 ‘껍데기는 가라’의 초고. 소명출판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50주기의 또 다른 키워드는 대중화다. 신 시인의 장남인 신좌섭 서울대 의대 교수는 “깊고 넓은 시인의 시 세계를 널리 알리기 위해 시인을 사랑하는 이들이 자발적으로 뛰고 있다”고 했다. 김응교 김형수 박준 시인에게 준비 중인 행사와 오늘날 시인의 외침이 갖는 의미를 묻고 이들의 목소리로 각각 정리했다.

동아일보

김응교 시인


○ 김응교―평전 재출간·문학길 지정

50주년을 맞아 2005년 발간된 평전 ‘시인 신동엽’(현암사)이 최근 재출간됐다. ‘좋은 언어로-신동엽 평전’(소명출판)으로 제목을 바꾸고 일부 내용을 고치고 더했다. 가난한 농민의 장남으로 태어나 남다른 총기로 명시를 남긴 시인의 일생을 촘촘히 되살렸다.

충남 부여, 제주(4월), 서울(6월)에서 신동엽 문학기행도 열린다. 서울 행사는 배우 김중기 씨가 신동엽 시인으로 분해 성북구 자택과 종로5가 등을 시민 35명과 함께 둘러본다. 중간 중간 상황극과 시 낭송을 곁들인다.

시에 나타난 그의 사상은 생태적 평화주의자에 가깝다. 한반도 화해 무드가 조성된 요즘과 맞아떨어지는 부분이 많다.
동아일보

김형수 시인


○ 김형수―신동엽 유튜브 100회

올해 1월 유튜브 채널 ‘문학난장’을 열고 시인의 작품과 생애를 소개하는 동영상 19편을 올렸다. 올해 100편 업로드가 목표다. 생전 시인도 ‘내 마음 끝까지’라는 동양라디오 심야 방송 대본을 집필하며 대중과 소통했다. 새 시대의 채널로 그가 독자와 가까워지길 바란다.

그는 오랜 기간 평론을 공부했다. 그래서 언어 세공능력이 떨어진다는 평가도 있다. 하지만 신동엽만큼 문명을 깊이 사유한 시인은 드물다. 쉽고 간결한 어휘로 ‘중립론’ ‘전경인’(인문학적 농사꾼) 같은 개념을 내세워 민족과 역사의 미래를 논했다. ‘향아’ ‘금강’ 등 시 전편에 이런 주제의식이 드러난다.

동아일보

박준 시인


○ 박준―신동엽문학상 수상 시인 작품집 출간

시인의 기일에 맞춰 ‘신동엽산문전집’과 신동엽문학상 수상 시인과 소설가의 작품집이 나온다. 각각 ‘밤은 길지라도 우리 내일은’(창비)과 ‘너의 빛나는 그 눈이 말하는 것은’(창비)으로, 도종환 시인과 공선옥 김금희 소설가 등이 참여했다.

습작 시절 그의 시집을 펼쳤는데 동시대 시인들과 결이 달랐다. 형식 실험과 전통 시에 몰두한 당시 분위기에서 신 시인은 민족을 파고들었다. ‘금강’ 등에서도 역사성이 현실과 이어지는 자각이 묻어난다. 도시화의 이면을 포착한 ‘종로5가’를 특히 좋아한다.

이설 기자 snow@donga.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