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7.01 (월)

이슈 '브렉시트' 영국의 EU 탈퇴

英 브렉시트, 이달 말에서 올해 6월로 연기될 수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파이낸셜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지난 2월 28일, 영국 런던의 의사당 앞에서 유럽연합(EU) 탈퇴를 반대하는 시위대가 EU 깃발을 들고 있다.EPA연합뉴스



영국이 이달 말로 다가온 유럽연합(EU) 탈퇴(브렉시트) 기한을 앞두고 EU와 분명한 합의를 이루지 못하면서 탈퇴일이 미뤄진다는 관측이 힘을 얻고 있다. 다만 테리사 메이 영국 총리의 합의안에 반대하던 영국 여야는 브렉시트 연기가 현실로 다가오면서 한발씩 양보하는 모습을 보였다.

미국 경제전문방송 CNBC는 3일(현지시간) 익명의 아일랜드 장관을 인용해 리오 버라드커 아일랜드 총리가 오는 29일로 예정된 브렉시트 실시일이 6월로 연기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이날 해당 장관은 "총리가 각료들과 모인 자리에서 사적으로 브렉시트가 올해 6월까지 연기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말했다"고 설명했다. 아일랜드 정부 측은 이에 공식 답변을 거부했다.

브렉시트가 6월까지 연기된다는 주장은 지난달부터 공공연히 나왔다. 메이 총리는 지난달 26일 의회에서 브렉시트 수정 합의안이 의회를 통과하지 못하면 브렉시트 시행 연기를 위한 투표를 진행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연기에 대해 "거의 단 1번만 가능할 것"이라며 5월 말 유럽의회 선거를 감안하면 6월 말 이후로 브렉시트를 연기하는 것이 "매우 어려울 것"이라고 설명했다. 앞서 지난해 EU 대표와 브렉시트 합의안을 마련한 메이 총리는 지난 1월 15일에 합의안을 의회 표결에 붙였으나 역대 최대 규모의 표차이로 대패했다. 메이 총리는 EU와 협상을 다시한 뒤 이달 12일에 2차 브렉시트 합의안 투표를 시행하고 다시 부결될 경우 다음날인 13일에 아무 합의 없이 EU를 떠나는 '노딜(No deal)' 브렉시트 여부를 묻는 투표를 열겠다고 예고했다. 메이 총리는 만약 노딜 브렉시트마저 불가능하다면 14일에 브렉시트 시행일을 연기하는 투표를 의회에 올릴 예정이다.

이에 대해 로리 스튜어트 영국 법무차관은 3일 현지 스카이뉴스 방송을 통해 "우리는 브렉시트 시행일을 미룰 수 밖에 없을 것 같다"고 말했다. 그는 "의회 내에 노딜 브렉시트를 원하는 과반수가 없어 보인다"고 지적했다. 전날 미셸 바니에르 EU 수석 브렉시트 협상 대표는 스페인 일간지 엘문도와 인터뷰에서 메이 총리가 비록 12일에 2차 합의안을 통과시킨다고 해도 합의 실행에 따른 기술적인 이유 때문에 브렉시트를 "연기할 수 밖에 없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약 2개월의 연기 정도면 적당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바니에르 대표는 합의안 반대파들이 비난하는 '안전장치' 조항에 대해 해당 조항이 임시 조치라는 보장성 문구를 합의에 추가할 수 는 있지만 합의안 반대파들이 요구하는 대로 완전해 제거할 수는 없다고 못 박았다. 안전장치는 브렉시트로 인해 영국령 북아일랜드와 EU 소속 아일랜드가 완전히 갈라지는 상황을 막기 위해 북아일랜드를 추가 무역합의가 있을 때까지 EU 관세동맹에 잔류시킨다는 조항이다. 합의 반대파들은 이 조항이 언제 끝날지 모르는 조항이라며 영국이 EU의 영원한 식민지가 될 수 있다고 주장해왔다.

한편 영국 내 합의안 반대파들은 시간이 촉박해지면서 점차 누그러진 태도를 보이고 있다. 집권 보수당 내 강경세력인 유럽연구단체는 3일 발표에서 메이 총리가 안전장치가 임시적이고 무조건 빠져나올 수 있는 조항이라는 점을 보장해 주면 브렉시트 합의안을 지지할 수 있다고 밝혔다. 아울러 영국 일간지 가디언은 1일 보도에서 야당인 노동당 지도부가 메이 정부가 브렉시트 여부를 묻는 2차 국민투표를 실시한다고 약속하면 12일 표결에서 메이 정부의 합의안을 지지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전했다.

pjw@fnnews.com 박종원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