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7.01 (월)

이슈 '브렉시트' 영국의 EU 탈퇴

英 제1야당, 브렉시트 시한 한달 앞두고 제2국민투표 추진 공식화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코빈 노동당 대표 "정부 합의안, 노딜 모두 위험

총선이 답이지만 어렵다면 국민에 다시 물어야"

메이 "시한 내 가능" 주장하지만 연기론 솔솔

중앙일보

제러미 코빈 영국 노동당 대표 [EPA=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영국 제1야당인 노동당이 브렉시트(영국의 EU(유럽연합) 탈퇴) 이행 방안이 의회에서 처리되지 않으면 제2 국민투표를 추진하겠다고 발표했다. 테리사 메이 총리가 EU 수뇌부와 브렉시트 수정안 마련을 위해 협상하고 있지만 출구를 찾지 못하고 있어 브렉시트 국민투표가 다시 실시될지 주목된다.

제러미 코빈 대표는 25일(현지시간) “의회가 메이 총리의 브렉시트 합의안을 부결시키거나 EU와의 협상 결과 어떤 합의도 없이 떠나는 ‘노 딜'(no deal) 브렉시트로 간다면 정부는 신뢰를 잃게 될 것"이라며 “이런 상황이라면 즉각 총선을 실시해 보수당의 집권을 무너뜨리는 게 최선”이라고 말했다. 이어 “총선을 실시할 수 없다면 노동당은 제2 국민투표를 포함한 모든 선택지를 테이블에 올려놔야 한다"고 덧붙였다.

중앙일보

브렉시트 반대 집회 참가자가 EU에 잔류하는 게 최선의 방안이라는 푯말을 들고 있다. [EPA=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코빈 대표는 “정부는 EU와의 재협상이 국민과 경제에 도움이 된다면 즉각 협상 내용을 공개하라"며 “메이 총리가 노동당도 찬성할 만한 수정안을 내놓으면 제2 국민투표를 추진할 이유가 없다"고 말했다. 그는 "메이 총리가 자신의 합의안을 밀어붙이려 하거나 노 딜 브렉시트로 가는 것을 막기 위해 노동당은 제2 국민투표를 거론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코빈 대표는 노동당이 원하는 브렉시트 합의안도 공개했다. 노동당은 항구적이고 포괄적인 EU와의 관세 동맹, 단일 시장에 근접한 관계 설정, 환경ㆍ교육ㆍ산업 분야의 EU 재정지원 프로그램 참여, 미래 안보계획에 대한 명확한 합의, 유럽 체포영장 및 중요 데이터베이스 공유 등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노동당은 이런 요구가 수용되지 않으면 제2 국민투표 추진에 나서겠다는 것이다.

중앙일보

브렉시트 연기론이 힘을 얻고 있는 가운데 노동당이 제2국민투표를 뒷받침하겠다는 뜻을 밝혀 추이가 주목되고 있다. [EPA=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노동당 소속인 사디크 칸 런던시장은 코빈 대표의 언급을 환영했다. 그는 “런던과 영국을 위해 올바른 결정"이라며 “최종 브렉시트 방안에 대해 국민에게 판단할 기회를 줘야 한다"고 말했다. 노동당 일부 의원들은 코빈 대표가 정부의 브렉시트 합의안을 막기 위한 제2 국민투표 카드를 내놓는데 소극적이라고 비판해왔다. 노동당 의원 8명은 탈당까지 했다.

메이 총리와 EU-아랍연맹 정상회의가 열리는 이집트에서 회담한도날트 투스크 EU 정상회의 상임의장은 다음 달 29일로 예정된 브렉시트 시한을 연기하는 게 합리적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메이 총리는 “여전히 3월 29일 브렉시트를 단행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며 “브렉시트 연기는 결정을 뒤로 미루는 것일 뿐 문제를 해결하지 못한다"고 반박했다.

중앙일보

메이 총리가 이집트에서 EU 수뇌부와 브렉시트 수정안 협상을 벌이고 있지만 마땅한 출구를 찾지 못하고 있다. [EPA=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메이 총리는 내달 12일까지 의회 표결을 마칠 것이라고 말했지만 보수당 내 강경파를 만족하게 할만한 수정안이 나올 지는 미지수다. 텔레그래프는 메이 총리가 브렉시트를 최대 2개월 늦추는 것도 검토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런 가운데 제1야당이 제2 국민투표 추진 의사를 공식화함에 따라 브렉시트는 일단 연기된 후 국민에게 의사를 묻는 길을 밟을 가능성도 커지고 있다.

런던=김성탁 특파원 sunty@joongang.co.kr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이슈를 쉽게 정리해주는 '썰리'

ⓒ중앙일보(https://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