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검찰, 삼성·현대차·SK 정조준… 내달 초 본격수사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삼성바이오 회계분식, 차량결함 은혜의혹, 가습기살균제 제조, ‘도마’

쿠키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검찰이 3월 초부터 대기업 비리 등을 집중 조명할 것으로 보인다. 검찰의 수사선상에는 대기업 순위 1~3위인 삼성과 현대차, SK 계열사가 모두 오른 것으로 알려졌다.

24일 연합뉴스는 사법행정권 남용의혹 수사가 막바지에 이른 상황에서 서울중앙지방검찰청이 단행한 2월 정기인사 등 검찰의 움직임을 근거로 제시하며 대기업을 향한 검찰의 수사망이 좁혀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특히 삼성전자의 경우, 인사결과 사법행정권 남용수사에 주력했던 특수1부 인력이 19명에서 15명으로 줄고 삼성바이오로직스 분식회계 의혹 사건을 맡은 특수2부이 12명에서 18명으로 늘었다는 점을 들어 3월 초까지는 사법농단사건 기소 후 집중수사가 이뤄질 것이라 전망했다.

여기에 더해 법조계 내,외부 말을 인용, 분식회계를 넘어 삼성전자 부회장에 대한 승계과정으로 확대될 가능성이 크다는 관측을 내놨다. 삼성바이오 수사를 이끄는 윤석열 서울중앙지검장과 한동훈 3차장 등 지휘부가 최순실 국정농단 사건을 수사한 박영수 특검팀 시절부터 삼성그룹의 경영권 승계 과정을 수사한 바 있다는 이유에서다.

현대,기아차가 엔진 등 차량 제작결함을 은폐했다는 의혹에 대한 수사도 서울중앙지검 형사5부가 지난 20일 서초구 양재동 현대차 본사와 경기도 화성 남양기술연구소 등을 압수수색해 자료를 확보한 만큼 수면 위에 오를 것이라고 봤다.

앞서 서울YMCA 자동차안전센터는 현대차가 세타2 엔진의 결함 가능성을 알면서도 그대로 차량을 팔아 이득을 취했다며 2017년 4월 정몽구 현대,기아차그룹 회장 등을 고발한 바 있다. 국토교통부 또한 같은 해 5월, 세타2 엔진 외의 제작결함 5건과 관련해 의도적 결함 은폐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며 검찰에 수사를 의뢰했다.

쿠키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SK케미칼(현 SK디스커버리)가 제조,공급한 유해성 가습기 살균제 및 그 원료에 대한 검찰조사도 임박했다고 연합뉴스는 전했다. 서울중앙지검 형사2부(권순정 부장검사)가 지난달에 이어 이번 달에도 SK케미칼,SK이노베이션에 대한 압수수색을 진행했다는 이유다.

옥시 등에 대한 가습기 살균제 수사 당시부터 SK케미칼이 가습기 살균제 원료물질의 독성을 알고 있었다는 주장이 제기됐지만, 원료제조사가 아닌 중간도매상에게 판매했기에 가습기 살균제 용도로 쓰이는지 몰랐다고 책임을 부인해 처벌 대상에서도 빠졌던 만큼 재수사에 나설 것이라는 분석이다.

한편, 이들 기업 외에도 검찰이 KT에 대해서도 황창규 회장을 소환조사하는 등 본격적인 수사에 착수할 것이라고 봤다. 혐의는 정치자금법 위반과 업무상 횡령 등이다. 경찰청 지능범죄수사대가 지난달 황 회장 등 KT 전,현직 임원 7명을 불구속 입건해 기소의견으로 검찰에 사건을 송치했기 때문이다.

알려진 바에 따르면 황 회장 등은 2014년 5월부터 2017년 10월까지 법인자금으로 상품권을 매입한 뒤 되팔아 현금화하는 속칭 '상품권깡'으로 비자금 11억여원을 조성했고, 이 중 4억3790만원을 불법 정치후원금 형태로 19대와 20대 국회의원, 총선 출마자 등 99명에게 전달한 혐의를 받고 있다.

오준엽 기자 oz@kukinews.com

쿠키뉴스 오준엽 oz@kukinews.com
저작권자 © 쿠키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