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7 (목)

UNIST손재성 교수팀, 초박막형 고배향·고효율 열전소재 개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뉴스1

고성능 초박막 열전소재를 개발한 UNIST 연구진(왼쪽부터 조승기 연구원, 손재성 교수, 허승회 연구원)© 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울산=뉴스1) 김기열 기자 = 방 안에 켜진 형광등, 100m 달리기를 마친 사람의 몸, 따뜻한 커피가 담긴 머그잔 등에 있는 열을 전기로 바꿀 '열전 기술'에 기여할 소재가 UNIST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

재료를 얇게 만들어 구부러진 표면에도 붙일 수 있는데다 성능까지 높여 크게 주목받고 있다.

20일 UNIST에 따르면 신소재공학부의 손재성 교수팀은 한국표준과학연구원의 신호선 박사팀과 공동으로 '주석-셀레나이드(SnSe)'의 결정 구조를 나란히 정렬해 고효율 초박막 열전소재를 만드는 데 성공했다.

이번에 개발한 공정은 '재료를 용액에 녹여 열전 잉크로 합성한 뒤(용액공정) 가열하는 방식'이라 손쉽고 저렴하다.

제작된 소재의 성능은 기존 덩어리(bulk) 형태의 열전소재에 뒤지지 않았으며, 공정 자체도 간단해 다양한 분야로 응용할 잠재성이 크다.

열전소재는 소재 양쪽에서 나타나는 온도 차이를 이용해 전기를 발생시킬 수 있는 물질로 열전발전기를 만들고 자동차나 선박의 엔진 등에 부착하면 전기를 생산할 수 있다.

열전발전기의 구조나 원리는 매우 단순하기 때문에 성능을 더 높이려면 더 좋은 열전소재를 개발해야 했다.

특히 2014년 처음 보고된 주석-셀레나이드는 성능 면에서 1~2위를 다툴 정도로 촉망받는 소재지만 이 물질의 결정 구조를 제어하기 어려워 기대만큼 우수한 열전 효율을 보이진 못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연구진은 주석-셀레나이드를 특정한 방향으로 성장시킬 2단계 공정을 개발했다.

1단계 공정에서는 '주석-다이셀레나이드(SnSe₂)' 박막을 만들고, 2단계 공정에서 열처리해 '주석-셀레나이드(SnSe)' 박막을 만드는 방식이다.

주석-다이셀레나이드가 특정한 방향으로 잘 성장하는 원소의 일종이라는 점에 주목해 새로운 방법을 고안한 것이다.

공동 제1저자인 조승기 UNIST 신소재공학과 석·박사통합과정 연구원은 "주석-다이셀레나이드를 가열하면 셀레늄(Se) 원자가 증발하며 주석-셀레나이드가 된다"며 "앞서 형성된 주석-다이셀레나이드 결정이 이정표가 되기 때문에 주석-셀레나이드 결정 구조도 가지런하게 정렬된다"고 설명했다.

이렇게 제작된 주석-셀레나이드 박막은 기존 연구에 비해 전기적 특성이 10배 이상 우수한 데다 단결정으로 성장시킨 덩어리 형태의 주석-셀레나이드 소재와 견줄 정도로 높은 성능을 보였다.

손재성 교수는 "원재료에 상당한 고온과 고압을 가하는 기존 방법은 생산비가 비쌀 뿐 아니라 원하는 방향으로 결정을 성장시키기 어려워 성능 확보가 어려웠다"며 "이번 기술은 간편하고 효율적일 뿐 아니라 주석-셀레나이드의 결정 방향까지 제어할 수 있어 향후 폭넓게 응용될 것"라고 기대했다.
kky060@news1.kr

[© 뉴스1코리아(news1.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