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30 (일)

경기 노후공장 ‘스마트화’ 756억 국비 지원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道, 2019년 800여개 기업체 대상/ICT 시스템 구축·공정 고도화/생산성 향상·불량률 감소 기대

경기도는 800여개 중소·중견기업의 노후한 공장을 스마트 공장으로 탈바꿈시키는 ‘2019년 스마트공장 보급확산 사업’을 추진한다고 19일 발표했다.

총 756억원의 예산이 투입되는 이 사업은 경기테크노파크, 경기대진테크노파크 등을 주관 기관으로 선정해 추진한다.

도 관계자는 “이번 스마트공장 보급확산 사업은 오래된 중소·중견기업의 공장을 스마트공장으로 바꾸거나 설비를 지원하는 사업으로, 전체 비용의 50%를 국비로 지원한다”고 설명했다.

도는 전국 지자체 중 가장 많은 756억원의 스마트공장 사업비를 국비로 확보했는데, 이는 전체 사업비의 28.2%에 이르는 규모다.

스마트공장은 기존 소품종 다량생산 방식에서 다품종 소량생산 방식으로 전환되고 있는 제조업의 새로운 패러다임에 맞춰 기획·설계, 생산, 유통·판매 등 모든 과정에 정보통신기술(ICT)을 접목해 맞춤형 제품을 생산하는 것을 말한다.

도는 지난 2014년부터 지난해까지 전국의 28%인 1971개사(전국 1위)의 스마트공장 구축을 지원했다.

지난해 3월 발간한 정부의 스마트공장 확산 및 고도화 전략 자료에 따르면 스마트공장 도입 기업은 생산성이 30.0% 늘고, 불량률 43.5%, 원가15.9%, 산업재해 22% 등이 감소하는 성과를 거둔 것으로 조사됐다.

이와 함께 기업당 고용도 평균 2.2명 증가하는 등 청년이 좋아하는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는 스마트공장 관련 설비와 솔루션을 최초 도입하는 기업에 최대 1억원까지 지원하는 신규 구축과 기존 설비시스템의 기능향상을 최대 1억5000만원까지 지원하는 고도화 두 가지로 진행할 예정이다.

김평원 도 과학기술과장은 “글로벌 경쟁에 참여하려면 불량률 감소를 통한 경쟁력 향상이 필수 요소인데 스마트공장이 이에 대한 해법으로 인식되고 있다”면서 “도내 중소기업의 생산성이 향상되고 경쟁력이 강화될 수 있도록 차질 없이 사업을 추진하겠다”라고 말했다.

의정부=송동근 기자 sdk@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 Segye.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