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우리금융, M&A 1호로 '하이자산운용' 택해...키움과 경합 전망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뉴스핌] 한기진 기자 = 우리금융지주가 출범 이후 M&A(인수합병) 1호 대상으로 '하이자산운용'을 택했다. 앞서 우리금융은 올해 비은행부문을 빠르게 확대한다는 방침하에 소규모 M&A부터 진행키로 했다. 우리금융은 몸값이 최소 1조원이 넘는 대형 증권사나 보험사를 원하고 있다.

뉴스핌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19일 금융권에 따르면 DGB금융지주의 손자회사인 하이자산운용과 하이투자선물 매각 주관사로 선정한 딜로이트 안진은 지난 18일 인수의향서(LOI)를 접수했다. 예비입찰에는 유력 인수후보로 거론됐던 우리금융지주와 키움증권이 참여했다.

DGB금융은 LOI를 제출한 인수후보자 가운데 숏리스트(적격 예비인수후보)를 가려내고, 이들에게 한달가량 실사 기회를 준 뒤 내달 말께 본입찰을 진행할 계획이다.

우리금융과 키움증권은 적격 예비인수후보로 선택될 가능성이 거의 확실시되고 있다. 인수의지가 분명하고 자본조달능력도 부족함이 없다.

DGB금융은 하이자산운용 매각 대금으로 1200억원 이상을 원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하이투자증권을 인수하면서 자회사인 하이자산운용과 하이투자선물이 달려 왔지만, 이미 자회사로 두고 있는 DGB자산운용과 사업영역이 상당부분 겹치고 합병 시너지도 크지 않아 가격만 맞으면 매각을 원하고 있다.

우리금융은 하이자산운용 인수에 적극적인 분위기다. 지주사로 출범한 올해부터 비은행부문 M&A에 나서기로 경영전략을 세웠고, 우선 자산운용사와 부동산신탁사를 인수키로 했다. 또한 운용자산(AUM) 50조원이 넘는 상위 운용사는 매물로 나올 가능성도 낮다고 봤다. 이에 하이자산운용(11조원) 뿐만 아니라 운용자산 규모가 큰 동양자산운용(19조원)도 매물로 나오길 기대하는 상황이다.

우리금융 관계자는 "하이자산운용의 규모와 일부 사업 분야에서의 강점, 예상 매각가 등을 고려해 봤을 때 내부적으로 인수에 긍정적"이라고 귀띔했다.

변수는 키움증권의 의지다. 키움투자자산운용과 포트폴리오 강화와 업계 순위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해 하이자산운용 인수에 적극 나서고 있는 상황이다.

hkj77@newspim.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