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2017년 트럼프 직무박탈 '내부 쿠데타 모의' 진짜 있었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매케이브 前 FBI 부국장 밝혀

"로즌스타인 前 법무부 부장관이 일부 장관과 트럼프 도청 등 논의"

미국 전직 고위 관리가 트럼프 행정부 내에서 '수정헌법 25조'를 활용한 사실상의 쿠데타 논의를 했다는 증언이 나왔다. FBI(연방수사국) 국장 대행을 했던 앤드루 매케이브 전 부국장은 17일(현지 시각) 방송된 미 CBS방송 인터뷰에서 "2017년 5월 법무부 관리들이 대통령이 정상적이지 못하다면 그를 제거하기 위해 (대통령 제거를 위한) 수정헌법 25조를 발동하는 방안을 논의했다"며 "로드 로즌스타인 법무부 (당시) 부장관이 트럼프 대통령의 직무 부당성 증거를 수집하기 위해 도청하자는 아이디어를 냈고 나도 심각하게 고민했다"고 말했다.

그동안 침묵을 지켜왔던 매케이브 전 부국장이 법무부 고위 관리 사이에 '내부 쿠데타' 모의가 있었다는 것을 확인한 것이다. 이 논의를 한 시점은 2017년 5월 제임스 코미 전 FBI 국장이 해임된 이후라고 매케이브는 밝혔다.

미 수정헌법 25조는 대통령이 사망하거나 정상적 직무 수행이 불가능할 때 행정부가 대통령을 물러날 수 있게 하고, 대통령직을 승계하는 절차를 다룬 조항이다. 이들은 트럼프와의 대화 내용을 녹음해 대통령이 정상적 업무 수행을 할 수 없는 정신상태라는 것을 증명하려 한 것이다.

매케이브의 발언은 작년 9월 뉴욕타임스(NYT)가 코미 경질 후 로즌스타인 당시 부장관이 대통령의 대화를 몰래 녹음하는 방안을 검토했고 장관들과 연계해 수정헌법 25조를 발동하는 방안을 언급했다고 보도한 것을 확인한 것이다. 이어 같은 달 스스로를 '트럼프 행정부 내 저항 세력의 일원'이라고 칭한 익명의 행정부 고위 관료도 NYT에 "내각에서 수정헌법 25조를 들먹이는 사람도 있었다"는 내용의 기고문을 싣기도 했다.

그러나 로즌스타인 전 부장관은 이와 관련해 "수정헌법 25조를 발동할 수 있는 위치에 있지도 않았고, 트럼프 대통령과의 대화를 녹음하려 하거나 이를 허가한 적이 없다"며 "내가 대통령의 해임을 시도했다는 어떤 주장도 거짓"이란 입장을 밝히고 있다.

매케이브의 공개적인 '쿠데타 검토' 증언에 공화당 내 친(親)트럼프 인사로 꼽히는 린지 그레이엄 상원 법사위원장은 17일 CBS방송 인터뷰에서 "(만일 직무 박탈 시도가 있었다면) 기본적으로 이는 행정적 쿠데타"라며 의회 청문회를 추진할 것임을 시사했다. 그는 "의회의 핵심은 행정부에 대한 감독"이라면서 "헌법은 의회가 누구에게든 질문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필요하다면 소환장도 발부하겠다"고 했다. 로즌스타인과 매케이브를 둘 다 의회로 불러 누가 진실을 말하는지 알아보겠다는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18일 트위터에 글을 올려 "매케이브와 로즌스타인은 매우 불법적인 일을 계획했던 것으로 보인다"며 "(이들의 행위는) 반역적인 것"이라고 했다.

[워싱턴=조의준 특파원]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