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늦게 자고 늦게 일어나는 저녁형 인간…"생물학적 시간과 사회적 시간 불일치"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아시아경제

[사진=연합뉴스]


[아시아경제 황효원 기자] 늦게 자고 늦게 일어나는 '저녁형 인간'은 아침형 인간에 비해 낮 시간대 뇌 기능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17일(현지시간) 메디컬 뉴스 투데이에 따르면 영국 버밍엄대학 인간 뇌 건강센터(Center for Human Brain Health)의 엘리스 페이스 차일즈 박사 연구팀은 저녁형 인간은 낮 시간대에 뇌 기능이 떨어져 일반적인 오전 9시~오후 5시 일과 시스템과는 맞지 않는다는 결과를 발표했다.


연구팀은 취침 시간이 평균 새벽 2시30분, 기상 시간이 아침 10시15분인 '저녁형 인간' 22명과 취침 시간이 밤 11시 직전이고 기상 시간이 아침 6시30분인 '아침형 인간' 16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뇌의 디폴트 모드에 해당하는 '휴지기 뇌 연결도'(resting brain connectivity)를 MRI로 촬영하고 아침 8시부터 저녁 8시 사이 뇌 기능 테스트, 낮 시간에 얼마나 졸리는지 물어봤다.


그 결과 저녁형 인간의 경우 전형적인 일과 시간대에서 의식의 유지와 관련이 있는 뇌 부위들의 '휴지기 뇌 연결도'가 하루 종일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때문에 저녁형 인간은 주의력과 반응 속도가 떨어졌고, 졸림도 지속됐다. 또 아침 시간대에도 이런 현상이 심한 것으로 드러났다.


반면 아침형 인간은 아침 시간대에 주의력과 반응 속도가 가장 빠르고 졸림도 가장 덜 했다. 아침형 인간은 또 작업 수행, 각성과 연관이 있는 뇌 부위들의 '휴지기 뇌 연결도'가 하루 일과의 모든 시간대에서 높았다. 저녁형 인간은 저녁 8시께 주의력과 반응 속도가 가장 빨랐고 졸음도 덜 했다.


결국 '저녁형 인간'은 일반적인 일과 시간대에는 뇌 기능이 저하된 상태가 돼 생물학적 시간(biological time)과 사회적 시간(social time)이 일치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말하자면 '시차피로'(jet leg)를 겪는 셈이라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황효원 기자 woniii@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