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6 (일)

美오대호 절반 이상 결빙…곳곳 '파란 얼음' 장관에 인파 몰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연합뉴스

미국 시카고 미시간호변 항구 [AP=연합뉴스]



(시카고=연합뉴스) 김 현 통신원 = 최근 미국 중북부를 강타한 기록적인 한파의 영향으로 세계 최대 담수호 오대호의 표면이 예년보다 이른 시기에 50% 이상 얼어붙었다는 관측이 나왔다.

12일(현지시간) 미국해양대기청(NOAA) 산하 오대호 환경연구소(GLERL)는 "현재 오대호 수면의 56%가 얼음으로 뒤덮여 있다"며 호수별로는 이리호 90%, 슈피리어호 70%, 휴런호 60%, 미시간호 35%, 온타리오호 20% 등이라고 전했다.

미 국립기상청 기상전문가 매트 지카는 이같은 수치가 예년 평균을 웃도는 것이라면서 지난달 말부터 오대호 일원에 몰아친 강추위의 영향으로 분석했다.

그는 이달 말 또는 다음달 초에 오대호 결빙 면적이 최고조에 달할 것으로 내다봤다.

오대호 수면의 얼음 양은 그해 봄·여름 날씨를 예측하는 주요 지표 중 하나여서 관심을 모은다. 오대호에 얼음이 언 면적이 넓을수록 대체로 봄·여름 평균 기온이 떨어진다.

연합뉴스

미국 미시간 주 맥키노해협의 파란 얼음 [웨더닷컴]



특히 최근 오대호 곳곳에서 마치 빙하 같은 '푸른 얼음' 장관이 연출돼 주민과 관광객들의 감탄을 자아내고 있다.

빛을 받으면 커다란 아쿠아 블루 사파이어 덩어리처럼 빛나는 이 푸른 얼음은 한겨울 오대호에서 볼 수 있는 특별 현상이다.

얼음이 푸른색으로 보이는 이유에 대해 GLERL 과학자 조지 레슈케비치는 "맑고 잔잔한 물이 서서히 얼어 형성된 두꺼운 얼음에는 미립자나 거품이 거의 없다"면서 "이로 인해 빛이 얼음 깊숙이 관통해 파장이 긴 적색 광선을 흡수하고, 파장이 짧은 푸른 광선은 쉽게 통과돼 우리 눈에 보이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레슈케비치는 "푸른 얼음은 2월 또는 3월 슈피리어호 또는 미시간호와 휴런호의 북부에서 볼 수 있다"며 조건이 맞으면 2년 또는 3년 연속 볼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고 부연했다.

지난해 미시간호와 휴런호가 만나는 맥키노 해협 등에 파란 얼음이 언 데 이어 올해는 미시간 주 북서단 뮤니싱 인근과 위스콘신 주 아포슬 인근의 슈피리어호, 미시간 주 베이시티 주립공원 인근 휴런호 등에 파란 얼음이 형성됐다.

디트로이트 언론은 이를 보려는 관광객들로 인해 지역 식당과 숙박업소들이 때아닌 호황을 누리고 있다고 전했다.

chicagorho@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