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7 (목)

[단독] 백악관, 2차 북·미 정상회담 '하노이 차터' 운행 전격 취소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기자들 등록 부족 이유… 관심도 떨어진 2차 북·미 정상회담

세계일보

미국 백악관이 오는 27∼28일 베트남에서 열리는 2차 북·미정상회담을 위해 마련했던 ‘하노이 전세기(차터)’ 운행 계획을 전격 취소했다. 대통령 순방에 맞물린 차터가 취소되는 것은 회담 자체가 취소되거나 연기되지 않는한 드문 일이다.

하지만 이번 경우는 2차 정상회담 일정과 무관한 조치로 보인다. 비싼 비용을 지불하고 차터를 타겠다고 나서는 언론이 적었다고 한다. 오히려 2차 북·미 정상회담에 대한 미국 언론의 관심도가 떨어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백악관 관계자는 12일(현지시간) 전화통화에서 “2차 정상회담 일정에 참가하는 언론인을 위한 차터가 어제(11일) 취소됐다”고 확인했다. 이 관계자는 차터가 취소된 배경에 대해 “차터가 운행되기 위한 최소 인원이 등록하지 않았다”면서 “몇명이 차터 이용을 원했는지는 확인해줄 수 없다”고 밝혔다. 백악관은 전날까지 차터를 신청한 언론인들에게 개별적으로 차터 취소 사실을 알리고, 일반 항공기를 이용하라고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백악관은 2차 정상회담이 열리는 하노이에 기자실을 운용하기 위해 언론인 등록을 받았고,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베트남 일정과 맞물려 차터를 운용하겠다면서 추가신청을 받았다.

백악관은 당초 총 700여명의 언론인이 차터를 이용할 것으로 보고, 차터 4대를 운영할 계획이었다. 차터 비용은 워싱턴에서 하노이를 왕복하는데 1인당 최소 1만2000달러에서 최대 6만5000달러로 알려졌다.

이번 차터 취소는 2차 북·미정상회담에 대해 미 조야에서 불거지고 있는 회의론과도 무관하지 않다. 백악관은 1차 정상회담 때 ‘톱다운’식 협상으로 실무적인 성과가 없었다는 비판을 받았지만, 이번에도 트럼프 대통령이 주도하는 형식의 협상을 이어갈 것이라고 장담했다. 사실상 실무협상이 충분히 진행되기 전에 2차 정상회담 일정이 확정된만큼 구체적인 조치에 대해 실무 차원의 대화가 부족할 수밖에 없다는 관측이다.

이에 대해 미국 언론은 실무협상을 통해 최소한의 로드맵을 만들지 않고 정상회담에 나선다면 ‘성과가 없다’는 비판을 또한번 감수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하고 있다. 특히 미 의회는 ‘실질적인 비핵화 없이는 대북제재 해제도 없다’는 트럼프 정부의 기존 원칙이 이번 2차정상회담을 통해 무뎌질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워싱턴=정재영 특파원 sisleyj@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 Segye.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