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6 (일)

“양승태 공소장이 살생부” 떨고 있는 100인의 판사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검찰, 7~8명 안팎 기소 가능성

검찰은 11일 양승태 전 대법원장과 박병대·고영한 전 대법관을 재판에 넘긴 뒤 ‘사법행정권 남용’에 간여했다고 판단한 나머지 법관들에 대한 법적 책임도 물을 예정이다. 서울중앙지검 수사팀은 100여명에 달하는 법관들에 대한 수사 자료를 꼼꼼히 들여다보면서 ‘관여 정도’ ‘혐의의 중대성’ 등에 따라 기소 대상자를 추리고 있다.

일단 기소 검토 대상에 오른 건 먼저 재판에 넘겨진 임종헌 전 법원행정처 차장의 공소장에 등장하는 이들이다. 전·현직 대법관 10명, 고등법원 부장판사 24명, 지방법원 부장판사 44명을 합쳐 총 93명에 달한다. 법조계에서는 이런 자료들을 토대로 7~8명 안팎의 전·현직 법관들을 ‘기소 유력 대상’이라고 보고 있다.

먼저 차한성 전 대법관, 유해용 전 고법부장(현 변호사)은 검찰이 공식적으로 피의자라고 지목한 사람들이다. 차 전 대법관은 일제시대 강제징용 피해자들의 손해배상 청구 재판에 개입한 혐의로 지난해 검찰 조사를 받았다. 유 변호사는 대법원 근무 시절 취급했던 사건을 수임하고 기밀 문건을 무단 반출한 혐의로 검찰이 수사 개시 이후 첫 구속영장을 청구했지만 기각됐다. 이밖에 신광렬 서울고법 부장판사도 ‘정운호 게이트’ 당시 법관 비리 수사를 막기 위해 영장심사에 개입한 혐의로 검찰 피의자 조사를 받았다.

재판거래와 판사 뒷조사 실무를 맡은 이규진 전 대법원 양형위원회 상임위원, 행정처 기획조정실장으로 근무한 이민걸 서울고법 부장판사도 재판에 넘겨질 가능성이 높다. 이 전 위원은 양 전 대법원장을 독대하며 지시사항을 한자 ‘대(大)’자로 수첩에 표시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인복·김용덕 전 대법관과 권순일 대법관도 검토 대상에는 올라 있다. 이 전 대법관은 중앙선거관리위원장 재직 당시 통합진보당 재산 국고귀속 소송에 개입했다는 의혹을, 김 전 대법관은 강제징용 재판 재상고심을 지연시켰다는 의혹을, 권 대법관은 강제징용 재판 지연 및 국정원 댓글 사건 개입에 연루됐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법원행정처 심의관으로 근무하며 ‘판사 탄압’ 문건 등을 작성해 징계를 받은 판사들도 기소 대상으로 거론된다. 한 법조계 관계자는 “양 전 대법원장 공소장에 핵심 ‘공범’으로 등장하는 법관들은 처벌 대상에서 빠져나가기 어려울 것”이라며 “대법원장의 공소장이 이른바 ‘살생부(殺生簿)’ 인 셈”이라고 말했다.

박사라·정진호 기자 park.sara@joongang.co.kr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이슈를 쉽게 정리해주는 '썰리'

ⓒ중앙일보(https://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