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7.01 (월)

이슈 '브렉시트' 영국의 EU 탈퇴

글로벌 경기·브렉시트 영향에 英 경제 지난해 1.4% 성장 그쳐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2009년 마이너스 성장 이후 최저…올해 전망도 밝지 않아

연합뉴스

영국 경제 2018년 1.4% 성장 그쳐 [EPA=연합뉴스]



(런던=연합뉴스) 박대한 특파원 = 글로벌 경기 둔화, 브렉시트(Brexit) 불확실성 등의 영향으로 영국 경제가 2009년 이후 가장 저조한 성장을 기록했다.

영국 통계청(ONS)은 11일(현지시간) 지난해 국내총생산(GDP)이 전년 대비 1.4% 증가했다고 밝혔다.

이는 마이너스 성장(-4.2%)했던 2009년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영국 경제는 2010년 1.7%, 2011년과 2012년 각각 1.5%, 2013년 2.1%, 2014년 3.1%, 2015년 2.3% 성장했다.

그러나 브렉시트 국민투표가 있었던 2016년 성장률은 1.9%로 2%를 하회했고, 2017년 1.8%에 이어 2018년 1.4%까지 떨어졌다.

이는 미국과 중국의 무역분쟁 등으로 글로벌 경기가 둔화하는 데다 오는 3월 29일 브렉시트를 앞두고 영국 경제를 둘러싼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4분기 영국 경제는 전분기 대비 0.2% 성장하는 데 그쳐 3분기(0.6%) 대비 성장 폭이 크게 줄었다.

특히 4분기 기업 투자는 전년 동기 대비 3.7% 줄면서 2010년 1분기 이후 최대 감소 폭을 기록했다.

기업 투자는 4분기 연속 감소세를 보이면서 2018년 전체로는 전년 대비 0.9% 줄었다.

통계청은 자동차 생산을 포함한 산업생산이 둔화하면서 전체 경제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했다.

다만 가계소비는 지난해 1.9% 증가, 회복세를 보였고, 정부 지출 역시 증가세를 나타냈다.

필립 해먼드 재무장관은 영국 경제의 기초여건이 여전히 튼튼하다며, 불황에 빠질 것으로 보이지는 않는다고 밝혔다.

그러나 해먼드 재무장관의 발언과 달리 영국 경제의 올해 전망 역시 밝지 않다.

영국 중앙은행인 영란은행(BOE)은 최근 영국 경제가 올해 1.2% 성장하는데 그칠 것으로 내다봤다.

지난해 11월 성장률 전망치(1.7%) 대비 0.5%포인트(p) 낮췄다.

최근 영국이 유럽연합(EU)과 아무런 협정을 맺지 못하고 탈퇴하는 '노 딜'(no deal) 브렉시트 우려가 커지자 기업들이 재고비축 등에 나서고 있지만, 경기둔화를 막지 못하고 있다.

영란은행이 208개 기업을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에서 절반가량은 '노 딜' 브렉시트에 대비해 재고를 비축하거나 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마크 카니 영란은행 총재는 "많은 기업이 '컨틴전시 플랜'을 위한 노력을 강화하고 있지만, 여전히 영국 경제 전체로는 전환(이행) 기간 없는 '노 딜' 브렉시트에 대비가 돼 있지 않다"고 지적했다.

지난해 카니 총재는 별도 전환 기간 없는 '노 딜' 브렉시트가 발생하면 1970년대 '오일쇼크'와 유사한 충격이 영국 경제에 가해질 수 있다고 전망한 바 있다.

pdhis959@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