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9.18 (수)

성공이끈 조직위 전문인력 절반이 취업못했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 평창올림픽 이후 1년 (下) ◆

다음달 해산을 앞둔 평창동계올림픽조직위원회의 전문인력(채용) 절반 이상이 새로운 일자리를 구하지 못해 전전긍긍하고 있다. 수년간 올림픽과 패럴림픽 준비에 공을 들이고 성공 대회를 이끈 주역들이 자칫 실업자로 내몰릴 위기에 처한 것이다.

일각에서는 일자리 창출을 가장 우선시하는 현 정부가 평창올림픽 성공을 위해 공을 세운 올림픽조직위원회 인력들의 일자리 마련에 너무 무관심하다는 비판을 제기하고 있다.

8일 평창조직위에 따르면 올림픽 당시 조직위 전체 인력 1205명 가운데 공무원과 공공기관, 체육회 등 파견직을 제외한 나머지 전문인력은 총 507명이다.

이들 모두 조직위 해산과 함께 새 일자리를 구해야 하지만 1월 말 현재 진로가 결정된 인원은 219명(43.1%)으로 절반 이상인 288명이 아직 재취업을 하지 못한 것으로 파악됐다. 이 가운데 33명은 아직 조직위를 떠나지 못하고 잔류해 있고, 나머지 인원은 계약이 종료돼 외부에서 구직활동을 벌이고 있다.

재취업에 성공한 인원들은 2020년 도쿄올림픽과 2022년 베이징올림픽, 7월 광주세계수영선수권대회 등 차기 조직위 25명을 비롯해 공공기관과 민간 기업 등에 취업한 것으로 확인됐다.

조직위는 올림픽 폐막 이후 3단계에 걸쳐 해산 절차를 밟고 있다. 1단계(지난해 4월 1일~6월 15일)로 1205명→695명, 2단계(지난해 6월 16일~12월 31일)로 695명→220명으로 각각 조직을 축소했다. 현재 3단계가 진행 중으로 1월 말 현재 잔류 인원은 총 65명(파견직 32명, 전문인력 33명)이다.

조직위는 해산 과정에서 전문인력 재취업 전담 부서를 꾸리고 우수 인력 추천 등 구직활동을 지원해 왔지만 기대만큼 성과가 나오지 않고 있다.

더욱이 3월 말 출범 예정인 평창올림픽기념재단으로의 재취업도 생각만큼 쉽지 않을 전망이다.

이런 가운데 조직위 차원에서의 취업 알선도 여의치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조직위에서는 국가적 지원은 물론 상반기 출범할 예정인 평창올림픽기념재단의 채용 확대가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최명규 조직위 사업부 차장은 "국가 정책상 지원책이 필요하다"며 "올림픽 성공에 기여한 유능한 인재들인 만큼 국가 차원에서 평창올림픽기념재단이나 동계아시안게임 등 차기 조직위로의 연계 취업을 지원하고 독려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이상헌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