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6 (일)

'주한미군 철수' 부인하면서 여운 남긴 트럼프, 의도는? [이슈+]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세계일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주한 미군 철수 계획이 없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한·미 양국 간 주한미군 주둔 비용 분담을 둘러싼 대립으로 2차 북·미 정상회담에서 주한미군 감축 또는 철수 결정을 내릴 수 있다는 한국과 미국 안팎의 우려를 일단 일축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3일(현지시간) 미국 CBS 방송의 시사 프로그램 ‘페이스 더 네이션’과 인터뷰에서 ‘한국에 미군을 계속 주둔시킬 것인가’라는 질문에 “그렇다. 다른 얘기는 한 번도 안 했다”고 말했다. 미국의 월스트리트 저널(WSJ)은 이날 “트럼프 대통령이 2월 말 북·미 정상회담에서 주한미군 철수 결정을 할 수 있을 것이라는 한국의 우려를 누그러뜨리려고 이를 부인했다”고 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그러나 주한미군 주둔 비용 문제를 들어 장기적으로 주한미군 철수 결정을 내릴 수도 있다고 여운을 남겼다. 트럼프 대통령은 “어쩌면 언젠가는(얘기할지도 모르겠다)”이라고 말한 뒤 “내 말은 누가 알겠느냐는 뜻”이라고 부연했다. 그는 “그곳에 군대를 주둔시키는 데 비용이 아주 많이 든다”면서 “한국에는 4만 명의 미군이 있는데 그것은 비용이 아주 많이 드는 일”이라고 강조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주한미군 병력이 2만 8500명가량이나 그 숫자를 잘못 말했다고 WSJ이 지적했다.

세계일보

WSJ은 또 ‘방위비 분담금 다툼으로 주한미군에 관한 우려 점증’이라는 별도의 기사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주한미군 철수가 아닌 감축 결정을 내릴 수 있다고 보도했다. 이 신문은 “한국과의 날 선 협상으로 인해 트럼프 대통령이 동맹 유지에 따르는 비용을 우려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회담에서 주한미군 감축 제안 가능성을 열어 놓고 있다”고 전했다.

WSJ는 “안보 전문가들은 전략적인 중요성과 한국 정부의 주한미군 주둔 지지 입장으로 인해 주한미군을 철수하기는 어려울 것이나 주한미군이 수십 년 동안 주둔하고 있었기 때문에 병력 감축을 단행할 가능성이 있다고 말한다”고 전했다. 칼 프리드호프 시카고국제문제위원회 연구원은 장기적으로 주한미군 감축 가능성이 있고, 북한이 북핵 담판에서 중대한 양보를 하면 미국이 진지하게 주한미군 감축을 협상 카드로 검토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WSJ는 “김 위원장과의 회담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예측 불가능성이 하나의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면서 “지난해 북·미 정상회담 당시에도 트럼프 대통령이 한·미 연합 군사훈련 중단 결정을 내렸고, 이것은 북한이 오랫동안 추구해왔던 것”이라고 지적했다.

스티븐 비건 미 국무부 대북정책특별대표는 지난달 31일 미 스탠퍼드대 연설에서 주한미군 철수 문제에 대해 “그런 거래를 제안하는 어떤 외교적 논의에도 관여하지 않고 있고, 그것은 전혀 논의된 바 없다”고 말했다.

워싱턴=국기연 특파원 kuk@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 Segye.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