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8 (금)

이슈 끝나지 않은 신분제의 유습 '갑질'

건설업계 "장기계속공사 불공정 갑질 관행 막아달라" 탄원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지하철 7호선 공기연장 간접비 소송 관련 탄원

국가 귀책사유 공기연장시에도 간접비 미지급

[이데일리 성문재 기자] 대한건설협회를 비롯한 건설관련 16개 단체는 ‘지하철 7호선 공기연장 간접비 소송 대법원 파기환송 판결에 따른 건설업계 탄원’을 지난 29일에 국회 및 정부, 각 정당에 제출했다고 30일 밝혔다.

주요 탄원내용은 △계약상대자의 책임없는 사유로 장기계속계약의 ‘총계약기간’이 변경되면 계약금액을 조정할 수 있도록 관계법령 정비 △장기계속공사 현장에서 공기연장 간접비 청구와 지급을 회피하는 발주기관의 각종 불공정행위를 방지할 수 있는 지침 조속 시달 등이다.

건설업계는 이번 탄원서에서 발주기관의 대표적인 불공정 갑질 관행으로 시공사의 책임없는 사유로 인한 공기연장에 따른 간접비 미지급을 들었다. 계류 중인 관련 소송가액만 1조2000억원에 달한다.

앞서 작년 10월30일 대법원은 지하철 7호선 연장구간 간접비 청구소송에서 건설업체가 승소한 하급심을 뒤집고 파기환송 판결을 내린 바 있다. 건설업계는 “대법원 판결은 국가계약법령상 장기계속공사의 ‘총공사기간’과 관련한 규정이 미비한 데서 비롯된 것”이라며 “발주자의 우월적 지위 때문에 현실적으로 전체공사 준공 전에는 간접비 청구가 어려운 건설현장의 애로가 고려되지 않았다”고 아쉬움을 표했다.

건설업계는 이번 판결로 장기계속공사의 전체공사 기간이 아무리 지연돼도 발주기관은 연차별 계약기간의 연장이 아니라 연차별 계약의 횟수를 늘리는 등의 편법을 쓸 경우 현재 진행 중인 장기계속공사 현장에서 공기연장 간접비 청구가 원천적으로 봉쇄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또한 이같은 상황은 국가의 귀책사유에 따른 공기연장으로 발생한 관리비용을 계약상대자에게 부당하게 전가하는 불공정행위를 용인하게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유주현 대한건설협회 회장은 “장기계속계약의 총계약기간이 변경되는 경우에도 계약금액 조정의 대상이 됨을 법률에 명시하는 내용으로 국가·지방계약법을 조속히 개정해야 한다”며 “현 정부의 대선공약과 100대 국정과제에 포함된 ‘공기연장에 따른 간접비 지급방안 개선’ 추진과 핵심 정책방향인 공정경제 기조에 따라 간접비가 지급되도록 시급히 개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데일리

장기계속공사 문제점 예시(자료: 대한건설협회)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