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3 (토)

이슈 '위안부 문제' 끝나지 않은 전쟁

나경원, 김복동 할머니 빈소에서 위안부 합의 질문 받자…

댓글 1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신문

나경원 자유한국당 원내대표가 29일 서울 서대문구 세브란스 병원 장례식장 특실에 마련된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고 김복동 할머니 빈소를 찾아 조문한 뒤 취재진 앞에서 발언하고 있다. 2019.1.29 박윤슬 기자 seul@seoul.co.kr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나경원 자유한국당 원내대표가 위안부 피해자이자 여성인권운동가인 고 김복동 할머니의 빈소를 조문했다.

나 원내대표는 29일 서울 신촌세브란스병원 장례식장을 찾아 전날밤 별세한 김복동 할머니의 명복을 빌었다.

조문을 마친 나 원내대표는 취재진과 인터뷰에서 “일본에게 다시 한번 촉구한다. 사과에 인색하지 말아달라”며 “(위안부 피해) 할머니뿐만 아니라 유족들에게도 합당한 대우를 해줄 수 있는 법안 발의를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나 원내대표는 박근혜 정부 시절인 2015년 12월 28일 한국과 일본 정부가 맺은 ‘위안부 합의’에 대해 찬성하지 않았느냐는 질문을 받자 “외교적으로 의미가 있다는 것이지 그때도 할머니들 의견을 수렴하지 않은 것은 잘못이라고 지적했다”고 말했다.

위안부 합의 당시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위원장을 맡았던 나 원내대표는 “아쉬움과 한계가 있지만 외교적 협상으로는 차선의 선택 아니었나 싶다”고 평가한 바 있다.
서울신문

29일 오후 서울 서대문구 세브란스 병원 장례식장 특실에 마련된 일본군 성노예 피해자 고 김복동 할머니의 빈소에서 나경원 자유한국당 원내대표가 조문을 하고 있다. 2019.1.29 박윤슬 기자 seul@seoul.co.kr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나 원내대표는 당시 MBC ‘신동호의 시선집중’, KBS1 ‘안녕하십니까 홍지명입니다’ 등 라디오 프로그램에 출연해 이 같은 의견을 피력했다.

나 원내대표는 “한일관계 정상화 요구와 생존해 계시는 위안부 할머니들이 얼마 남지 않은 상황에서 문제를 빨리 매듭지어야 한다는 요구가 상당했다며 위안부 합의안을 두둔했다.

그러면서도 당사자인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들의 의견이 합의에서 배제된 것에 대해 ”미리 이해를 구하는 부분이 부족하지 않았나 생각한다“며 ”아베 총리의 공식적인 사죄 표명 등 절차가 남아 있기 때문에 위안부 할머니들의 명예 회복과 상처를 치유할 수 있는 양국의 성실한 후속조치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합의안에 ‘불가역적인 해결’이라는 문구가 논란인 것에 대해 나 원내대표는 ”합의의 전제는 조치를 성실히 이행하는 것인데 일본이 역사를 거꾸로 돌리는 시도를 하면 우리가 단호하게 대응해야 할 것“이라며 ”만약 거꾸로 한다면 우리도 후속 조치에 대한 약속을 이행하지 않아도 되지 않나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서울신문

나경원 자유한국당 원내대표. 2019.1.29 서울신문 DB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당시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이 한일 위안부 합의에 대해 ”박근혜 대통령이 비전을 갖고 올바른 용단을 내린 데 대해 역사가 높게 평가할 것으로 생각한다“며 합의안을 두둔한 것에 대해 나 원내대표는 ”유엔 사무총장으로서 하신 발언“이라며 ”한일관계가 어려운 국면이었는데 일본 정부의 책임을 인정하도록 하고 일본 정부 예산을 반영한 부분 등에 대한 성과를 언급한 것“이라는 의견을 밝히기도 했다.

나 원내대표는 한일 위안부 합의 이후에도 일본 정부가 위안부 동원에 강제성이 없었다고 발언하는 등 책임을 회피하는 것에 대해 유감을 표시하기도 했다.

나 원내대표는 2016년 3월 8일 ‘세계여성의 날’을 맞이해 기시 노부오 당시 일본 중의원 외무위원장에게 서한을 보냈다.

이 서한을 통해 그는 ”한일 위안부 합의 이후 일본 정부가 위안부 강제 연행을 부인하는 등 책임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며 우려와 유감을 표명했다고 밝혔다.

오달란 기자 dallan@seoul.co.kr

▶ 부담없이 즐기는 서울신문 ‘최신만화’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