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3 (일)

이슈 책에서 세상의 지혜를

'지광국사탑을 보다' 국보 101호 보존처리 과정 집대성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뉴시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시스】 이수지 기자 = 국보 제101호 '원주 법천사지 지광국사탑(原州 法泉寺址 智光國師塔)'을 보존처리한 과정을 기록한 보고서가 나왔다.

국립문화재연구소가 지광국사탑 보존처리 과정 보고서와 사진을 실은 도록을 발간했다.

보고서 '원주 법천사지 지광국사탑 보존·복원Ⅱ'는 2017년 사업내용을 정리한 것이다. 보존처리, 조사연구, 학술연구 성과를 수록했다.
뉴시스

지광국사탑 옥개석 부재와 모르타르 처리 현황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1957년 수리에 사용된 시멘트에 의한 손상 원인과 구조적 문제점을 해석했다. 시멘트 제거 이후 모습도 확인할 수 있다.3차원 입체(3D) 스캔과 3D 프린팅을 활용한 모형제작 등 3D 콘텐츠로 구축한 자료도 담았다.

지광국사탑 보존·복원을 위해 연구소가 개발한 새 무기질 조성물도 소개했다. 이 무기질 조성물은 지광국사탑의 결실부를 더 효율적으로 복원하려고 기존 결합제의 단점을 보완, 유기질 성질을 혼합해 성능을 개선했다. 특허 추진을 계획하고 있다.

도록 '고려(高麗) 미(美)·상(想), 지광국사탑을 보다'는 장엄한 조각과 문양을 통해 밝혀낸 지광국사탑에 담긴 종교적 의미와 상징을 수록했다.

뉴시스

1957년 수리된 옥개석 모르타르 내 철근 현황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도록 속에는 일제강점기 고적 조사 이후 제대로 촬영되지 못했던 탑의 세부와 해체된 부재들을 현대적 시선으로 촬영한 사진도 소개하고 있다.

지난해 6월 지광국사탑과 법상종을 주제로 개최한 학술심포지엄의 결과물인 논고 6편과 국보 제59호 지광국사탑비의 탁본, 판독·역주도 함께 수록했다.

뉴시스

유리건판 속 지광국사탑의 묵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특히, 도록에는 한글이 적힌 지광국사탑의 묵서를 처음으로 소개했다. 탑 복원을 위해 현재 남아있는 유리건판 몇 장을 참고하던 중 발견한 이 한글 묵서에는 '긔묘', '여긔서' 등 1911년 이전 기록한 것으로 추정되는 한글이 남아 있다. 이 자료는 19세기 후반~20세기 초반 한글 용례를 살펴볼 수 있는 귀중한 자료로 평가된다.

이번에 발간한 보고서와 도록은 국립문화재연구소 웹사이트에도 공개해 누구나 열람할 수 있도록 했다.

뉴시스

옥개석의 아미타불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지광국사탑은 강원도 원주시 부론면 법천사에 세워졌던 고려 시대 국사(國師) 해린(984~1070)의 승탑이다. 독특한 구조와 화려한 조각으로 역대 가장 개성적이고 화려한 승탑으로 꼽힌다. 지광국사탑은 일제강점기에 일본으로 반출된 후 10 여차례 해체와 이건(移建) 과정에서 본래 모습을 일부 상실한 상태였다.

연구소는 2016년부터 지광국사탑의 보존처리를 위해 탑을 해체하고 조사연구를 하고 있다. 보존·복원 과정에서 옥개석과 하층기단 갑석의 부재를 찾았다. 석재의 산지를 추정하고 과거 복원에서 뒤바뀐 옥개석 위치를 바로잡는 성과도 냈다.

suejeeq@newsis.com

▶ 뉴시스 빅데이터 MSI 주가시세표 바로가기
▶ 뉴시스 SNS [페이스북] [트위터]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