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9.29 (일)

"한 번만 들여다봐 주시면…" 이국종 교수의 호소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앵커]

지난 두달 동안 권역 외상 센터의 문제점들을 집중적으로 취재해온 윤정식 기자가 스튜디오에 나와 있습니다. 한 걸음 더 들어가겠습니다.

윤 기자, 지난 11월 이국종 교수가 뉴스룸에 출연했을 때, 좀 비관적이지 않나 하는 생각이 들었는데 현실은 더 심각해 보입니다.


[기자]

네, 그렇습니다. 두 달 전 취재를 시작할 당시 이국종 교수가 한 말이 있습니다. 한번 들어보시죠.

[이국종/아주대병원 권역외상센터장 : 계속 정책을 끌고 나가기는 불가능할 거예요. 응급실하고 차별성이 없다는 건. 가망이 없어요…가망이 없어요.]

대형병원 응급실이 제 역할을 하지 못해 외상센터를 만든 건데, 이 역시 가망이 없다고 말한 것입니다.

[앵커]

먼저 외상센터가 중증 환자를 거부한다는 게 상식적으로 납득이 안됩니다. 큰 대형 병원 응급실도 치료 못하는 중증 환자들이 최후에 찾는 곳이 권역별 외상센터 아닙니까? 왜 이런 일이 벌어지는 건가요?

[기자]

문제의 핵심은 우리나라에는 외상 환자들의 위한 전용 수가 체계가 없다는 것입니다.

중증외상 환자는 여러 곳을 심각하게 다친 환자입니다.

한 번 가정을 해보겠습니다.

교통사고 등으로 다발성 손상, 여러 곳을 다친 환자가 있습니다.

갈비뼈를 비롯해 위와 담낭, 등 장기 5곳이 파열됐다고 한번 가정해보겠습니다.

이 경우 의료진이 모두 수술을 해서 수술비를 청구해도 100% 돌려받기가 힘듭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한 번에 인정하는 수술은 2~3개 정도입니다.

나머지는 보험금를 받을 수 없는 체계입니다.

[앵커]

쉽게 말해, 중증 외상환자는 병원 입장에서 돈이 안되기 때문이라는 건가요.

[기자]

네, 중증외상의 경우 환자의 본인부담율은 5~10%입니다.

환자가 10%를 내도 심사평가원에서 인정하지 않는 부분에 대해서는 병원은 90%의 치료비를 못 받습니다.

이런 구조 때문에 병원은 오히려 크게 다친 환자일수록 거부할 수 밖에 없게 됩니다.

[앵커]

이렇게 제도가 만들어진 취지도 있을텐데요. 무엇 때문입니까.

[기자]

중증 환자도 단순 타박상이나 감기 같은 일반 환자와의 형평성을 고려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유럽이나 미국 등은 외상 환자를 위한 수가가 따로 메겨져 있는 국가에서는 이런 상황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앵커]

아무리 돈이 안된다 하더라도, 마지막 희망을 걸고 찾은 권역외상센터가 응급환자를 다른 병원으로 보내도 되는건가요?

[기자]

권역외상센터 지침서를 보면 중증외상환자의 진료를 거부할 수 없다고 나와있습니다.

그래도 전원을 해야 할 경우 병원은 복지부에 사유를 써냅니다.

그런데 사유서를 살펴보니 가장 많은 게 보호자나 환자의 요청입니다.

하지만 여기에 꼼수가 들어갑니다.

앞서 기사에서도 언급됐지만, 거부하려는 중증 환자에게 외상센터 의료진이 "저희 병원에서 치료받으려면 많이 기다려야 된다"고 말합니다.

이런 상황에서 보호자들이 전원을 거부하긴 힘들 것으로 보입니다.

[앵커]

그런데 정부에서는 외상센터를 지을 때는 물론, 매년 수십억원의 인력비도 지원하고 있지 않습니까?

[기자]

여기 영상을 하나보겠습니다. 제가 아주대병원 권역외상센터에서 취재할 때입니다.

당시 오토바이 사고 환자가 발생했고 이국종 교수가 현장으로 간 사이 소생실 모습입니다.

아주대에는 간호사 6명과 의사 4명 총 10명이 한팀으로 대기를 합니다.

언제 올지 모르는 중증외상 환자를 위해 이런 인력 몇 개팀을 상시 대기시키는 겁니다.

그런데 일부 병원에서는 이런 인력을 자신들의 응급실에 투입하는 등 악용하고 있는 것입니다.

[앵커]

유용하게 활용이 되어야하는데 그렇지 못하다는 이야기고요. 복지부에서 따로 감독이나 관리를 하지 않나요?

[기자]

복지부가 매년 외상센터 평가를 합니다. 그런데 여기에는 환자가 센터 도착 후 전문의를 10분 안에 만나는지만 확인합니다.

문제는 평가에서 낙제점을 받아도 센터 지정 취소는 거의 없다는 것입니다.

해당 지역 외상센터를 비워놓기 보다는 부실해도 두는게 안전하다는 건데 이런 상황 때문에 병원은 더 배짱인 것입니다.

◆ 관련 리포트

'무늬만' 수술실, 지원금은 어디로?…거부 당한 환자들

→ 기사 바로가기 : http://news.jtbc.joins.com/html/275/NB11757275.html

◆ 관련 리포트

"전담의들 이중 진료 시켜"…수천억 들인 외상센터 실태

→ 기사 바로가기 : http://news.jtbc.joins.com/html/274/NB11757274.html

윤정식 기자

JTBC, JTBC Content Hub Co., Ltd.의 모든 콘텐트(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by JTBC, JTBC Content Hub Co., Ltd. All Rights Reserved.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