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15 (금)

이슈 책에서 세상의 지혜를

3m마다 깃대, 365일 태극기 휘날리는 섬마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3·1운동 100년]

[우리가 몰랐던 이야기] [1] '항일의 섬' 소안도

전남 완도에서 배 타고 한시간… 배 이름도 '대한' '민국' '만세'

그 섬에서 3·1운동은 현재 진행형이다. 꼭 100년 전 봄, '독립(獨立) 만세(萬歲)'의 함성과 태극기의 물결이 한반도의 온 산하를 덮었듯 남도의 작은 섬 소안도에선 1년 365일 1500개 태극기가 휘날리고 있다.

조선일보

전남 완도군 소안도의 주민과 초등학생들이 3·1운동 100주년인 2019년을 맞아 소안항일운동기념탑 앞에서 태극기를 들고 '만세'를 부르고 있다. '항일의 섬'이라 불리는 소안도의 주민들은 1919년 서울에서 3·1운동이 일어난지 불과 14일만에 완도의 만세 운동을 주도했으며, 1920년대 섬 주민 6000여명 중 800명이 '불령선인'으로 찍혀 총독부의 감시를 받았을 정도로 격렬하게 항거했다. /김영근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전남 완도 화흥포항에서 배를 타고 한 시간을 가야 닿는 곳. 이곳을 운항하는 세 척의 배 이름부터 '대한' '민국' '만세'호다. 선착장에 도착하는 순간 이곳을 왜 '태극기의 섬'이라 부르는지 실감하게 된다. 마을로 들어가는 길가에 3m 간격으로 세운 깃대마다 태극기가 펄럭인다. 학교와 관공서는 물론 집집마다 빠짐없이 태극기를 달았다. 소안초등학교 6학년 김유준(13)군은 "학교 선생님과 동네 어른들로부터 거의 매일 항일운동 이야기를 들어서 3·1운동이 일어난 100년 전이 그렇게 오래전 일 같지 않다"며 웃었다.

"한마디로 '항일(抗日)의 섬'이자 '민족의 섬'입니다." 이대욱(66) 소안항일운동기념사업회장이 말했다. 서울에서 3·1 만세운동이 일어난 지 14일 만인 3월 15일 소안도의 독립운동가들이 치밀하게 거사를 준비해 완도읍 장날 만세운동을 일으켰다. 완도군민과 천도교인·기독교인 등 1000여명이 동참했다. 소안도민들이 주도한 이 '3·15 만세운동'은 유관순의 천안 아우내 만세운동보다 보름이나 빨랐다. 소안도에선 해마다 3월 15일 만세운동 재현 행사를 연다.

조선일보

2003년 복원된 사립소안학교 교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19세기 말부터 광복까지 오래도록 지속된 끈질긴 항쟁이었다. 이 회장은 "1920년대 소안도 주민 6000여명 중 800명이 총독부에 의해 '불령선인(不逞鮮人)'으로 지목돼 감시를 받았다"고 했다. 섬 주민 중 광복 후 건국훈장을 받은 사람은 20명, 기록에 남은 독립운동가만 89명이다.

함남 북청, 부산 동래와 함께 항일운동이 가장 강성했던 곳으로 꼽히는 소안도의 항쟁은 '항일의 종합판'과도 같았다. 평화적 시위와 무력 항쟁, 교육 운동과 노농(勞農) 운동, 비밀 결사와 법정 투쟁이 한곳에서 일어났다. 1894년 동학농민운동 때 접장 7명이 소안도에서 체포돼 그중 3명이 처형당했다. 1909년에는 의병이 주도한 '당사도 등대 습격 사건'이 소안도에서 발생했다. 신용하 서울대 명예교수는 "소안도를 비롯한 전남 남해안의 섬들은 동학운동의 전통으로 인해 항일운동의 뿌리가 깊은 곳"이라고 했다.

조선일보

소안도 출신으로 서울 중앙학교를 졸업한 송내호(1895~1928) 등이 항쟁의 중심 역할을 맡았다. 완도의 독립만세운동을 주도한 송내호는 1927년 좌우를 망라한 항일 민족운동 단체인 신간회의 창립 발기인 35인 중 한 명으로 조선일보 사장 이상재, 주필 안재홍 같은 민족 지도자들과 함께 활동한 인물이다.

1923년 개교한 사립소안학교는 '배움만이 항일의 길'이라는 소안도민의 의자가 표현된 교육 기관이었다. 학교 이름에 '사립'을 붙인 이유는 '일제가 아니라 우리 손으로 학교를 세웠다'는 의미다. 일장기를 달지 않고 일본 국경일 행사를 거부하던 이 학교는 1927년 강제 폐교됐고, 주민들은 격렬한 복교 운동을 벌였다. 조선일보와 동아일보가 연일 이 사건을 보도하면서 섬마을 학교의 폐교 사건은 항일운동의 상징으로 떠올랐다.

그들의 정신은 최근에 와서야 제대로 기억되기 시작했다. 2003년 사립소안학교 교사가 복원됐고, 그 옆에 소안항일운동기념관이 세워졌다. 2004년엔 기념탑이 건립됐다. 2013년에는 온 마을이 국기를 다는 '태극기 섬 선포식'이 열렸고 2017년엔 군(郡)에서 '소안도는 연중 태극기를 달 수 있다'는 조례를 만들었다. 학생 수 90명의 소안초등학교에선 해마다 3월이면 백일장 대회를 연다. 지난해 5학년 이은비 학생은 이런 시를 썼다. "마치 소안도에는/ 태풍에도 흔들리지 않는/ 커다랗고 커다란/ 애국심이 땅에 묻혀/ 나무도 새도 노래하는 듯하네."

[소안도=유석재 기자]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