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인권위 “미 대사관 앞 1인 시위 보장” 권고도 무시한 경찰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국제관계 특수성·통행 불편”

광화문 등 인접 지역만 허용

국가인권위원회가 경찰에게 미국대사관 앞 1인 시위를 최대한 보장하라고 권고했지만 경찰이 국제관계의 특수성과 시민통행 불편 등을 이유로 거부했다.

인권위는 경찰의 미국대사관 앞 1인 시위 제한이 ‘표현의 자유 침해’라고 판단하고 서울 종로경찰서장에게 보행자 등 통행을 방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1인 시위를 최대한 보장할 것을 권고했지만 경찰이 ‘불수용’ 입장을 회신했다고 18일 밝혔다.

진정인 ㄱ씨는 2016년 2월 서울 종로구 미국대사관 앞 인도에서 ‘대립과 불안을 불러오는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는 위헌입니다’라고 적힌 손팻말을 들고 1인 시위를 하려고 했지만 종로경찰서 소속 경찰관들의 제지로 하지 못했다. 경찰은 ㄱ씨 주변에 최소 5명 이상의 변호사들이 촬영하면서 뒤따랐기 때문에 1인 시위가 아닌 불법 집회라고 봤다. 경찰은 ㄱ씨 1인 시위가 다른 반미단체·이적단체를 자극해 불법을 부추기거나 이들과 연계할 위험도 있다고 했다. 손팻말 문구가 미국인의 명예를 훼손하거나 모욕할 위험이 크다고 보고 경찰관 다수가 ㄱ씨의 몸을 밀어내 미국대사관에서 15m 떨어진 KT 광화문지사 북단까지 이동시켰다.

인권위는 “1인 시위가 공관지역이나 외교관의 안녕과 품위를 손상시킨다고 볼 수 없고 시위 장소 선택 또한 중요한 표현의 자유의 일부”라며 “미국, 일본, 영국, 프랑스, 독일, 러시아의 경우 자국 내 외국 공관 인근에서 1인 시위뿐 아니라 일반 집회 개최를 허용하고 있다”고 밝혔다. 다만 미국대사관 인근 1인 시위를 제한 없이 허용할 경우 많은 경비 인력으로 대사관 앞 인도에 극심한 통행 방해가 생길 수 있다고 보고, 방해가 발생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1인 시위를 최대한 보장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라고 경찰에 권고했다.

경찰은 외국 공관의 안녕과 기능 보호, 국제관계의 특수성, 시민통행권 보장 등 현실적 이유를 강조하며, KT 광화문 지사 북단과 광화문광장 등 미국대사관 앞이 아닌 인접 지역에서 1인 시위를 보장하겠다고 회신했다.

허진무 기자 imagine@kyunghyang.com

최신 뉴스두고 두고 읽는 뉴스인기 무료만화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