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7 (월)

주택, 노년가구 자산의 75% 비중…21% 가구는 채무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노년 가구 80% 현재 거주지에 계속 거주 희망

주택연금 '타인에게 추천' 의향 전년대비 증가

CBS노컷뉴스 장관순 기자

60세 이상 노년 가구의 보유자산에서 주택이 차지하는 비중이 75%로 나타났다. 이들 가구 중 보유주택에 채무가 있는 가구는 21%였다.

한국주택금융공사는 지난 7~9월 만 55~84세 주택소유자 30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주택연금 수요실태조사'를 통해 이같은 결과를 얻었다고 18일 밝혔다. 주택연금을 이용 중인 1200가구도 조사 대상이었다.

만 60~84세(2700명) 일반노년가구의 보유자산 중 주택이 차지하는 비중은 75.1%였다. 서울(85.2%), 경기(81.6%) 거주가구 쪽이 광역시(78.5%)나 지방도시(64.4%) 거주가구에 비해 주택자산 비중이 더 높았다. 총 보유자산의 평균은 서울이 6억8859만원으로 가장 컸고, 경기(5억239만원), 광역시(3억8305만원), 지방도시(2억7455만원)이었다.

노컷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만 60~84세 일반노년가구의 보유주택 채무보유율(임대보증금·주택담보대출)은 21.0%로, 연령대가 낮을수록 채무보유율이 높았다. 또 9억원 이상의 주택을 보유하고 있는 가구 중 50.9%는 채무가 있다고 답했다.

채무가 있다는 응답은 지역별로 서울(28.5%), 경기(25.4%), 광역시(22.5%), 지방도시(14.1%) 순이었다. 연령별로는 만60~64세(25.3%), 만65~69세(24.2%), 만70~74세(20.3%), 만75~79세(14.3%), 만80~84세(10.6%) 순으로 나타났다.

채무가 있는 가구의 평균 채무는 9828만원으로 보유주택 가격 대비 평균 25.2%였다. 금액은 9억원 이상(50.9%), 6억원이상~9억원미만(37.7%), 4억원이상~6억원미만(30.4%), 2억원이상~4억원미만(24.3%), 1억원이상~2억원미만(14.5%), 1억원 미만(3.3%) 순으로 분포했다.

이런 가운데 일반노년가구 중 자녀에게 경제적 도움을 받는 비율은 22.5%로 전년대비 3.7%포인트 하락했다. 또 일반노년가구의 28.5%는 보유주택을 자녀에게 상속할 의향이 없다고 답했다. 비상속 의향은 2015년(24.3%) 이후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고 주택금융공사는 설명했다.

노컷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또 자가거주 중인 만 60~84세 일반노년가구 중 대다수인 80.1%가 현재 거주 지역에 계속 살고 싶다고 응답했다. 동일 주택에서 계속 거주하려는 노년층(78.0%)이 대부분이며, 동일한 지역사회 내에서 거주지만 옮겨 계속 살겠다는 응답은 2.1%로 집계됐다.

이밖에 주택연금 이용가구 중 주택연금을 타인에게 추천하겠다고 응답한 비율은 전년대비 6.9%포인트 상승한 71.2%였다. 자녀가 있는 주택연금 이용가구 중 78.8%는 자녀들도 주택연금 이용에 긍정적 입장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CBS 노컷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