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7 (월)

WEF 보고서 한국 성평등 115위…정치·경제 참여 격차 여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세계경제포럼(WEF)이 18일(현지시간) 내놓은 2018년 세계 젠더(성) 격차 보고서(Global Gender Gap Report 2018)에서 한국이 전체 149개국 중 115위로 여전히 하위권에 머물렀습니다.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은 젠더 격차 지수가 0.657로, 103위를 차지한 중국(0.673), 110위 일본(0.662)보다 낮은 순위에 그쳤습니다.

한국은 지난해 보고서에서도 젠더 격차 지수가 0.650으로 조사 대상 144개국 중 118위를 차지했습니다.

젠더 격차 지수는 1에 가까울수록 양성평등이 이뤄졌다고 보고 있습니다.

WEF는 2006년부터 경제 참여·기회, 교육 성과, 보건, 정치 권한 등 4개 부문에서 국가별 성별 격차를 수치화해 매년 순위를 발표하고 있습니다.

한국은 올해도 경제 참여·기회 부문(0.549), 정치 권한(0.134) 부문에서 특히 낮은 젠더 평등 지수를 기록하며 각각 124위, 92위를 기록했습니다.

경제 참여·기회 부문에서 남녀 임금 평등 지수는 0.532로 세계 평균 0.632를 한참 밑돌았습니다.

추정 근로 소득(구매력 기준) 수준은 남성이 5만2천590달러지만 여성은 2만4천54달러에 그쳤습니다.

정치 권한 부문에서 여성 의원 비율은 102위, 여성 각료 비율은 119위 등 하위권에 머물렀습니다.

여성 최고 지도자 집권 기간은 작년과 같은 28위였습니다.

교육 부문은 초·중등 교육 기회에서 각각 1위를 차지했지만 고교 졸업 후 3차 교육 평등은 작년보다 한 계단 내려간 113위로 개선되지 않았습니다.

보건 부문에서도 기대 수명 평등은 작년처럼 1위를 차지했으나 출생 남녀 성비 불균형은 137위로 작년 132위보다 악화했습니다.

WEF는 양성평등을 이루는 데 108년이 더 걸릴 것으로 전망하면서 경제적 격차를 줄이는 데는 202년이 걸릴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WEF는 또 전통적으로 여성 몫으로 여겨졌던 일자리를 자동화 기계가 대체하면서 상대적으로 직장에서 여성이 남성보다 적은 수가 일하고 있다고 우려했습니다.

특히 인공지능 분야에서는 여성의 참여율이 22%로 낮게 나타났습니다.

젠더 격차가 가장 작은 나라는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아이슬란드가(0.858)로 1위를 차지했고 노르웨이(0.835), 스웨덴(0.822) 등이 뒤를 이었습니다.

아시아 국가 중에는 유일하게 필리핀이 8위(0.799)를 차지했습니다.

▶[제보하기] 모든 순간이 뉴스가 됩니다
▶[끝까지 판다] 뿌리 깊은 사학 비리
※ ⓒ SBS & SBS Digital News Lab. : 무단복제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