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한경연, 내년 성장률 2.4% 전망..모든 경제지표 악화 예상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이 내년 경제성장률(GDP)을 올해 전망치보다 0.3%p 낮은 2.4%로 예상했다. 내수와 수출을 이끄는 건설과 설비투자를 비롯한 모든 경제지표가 올해보다 악화될 것이라는 분석이다.

한경연은 17일 4·4분기 경제동향 보고서를 통해 내년 우리나라 경제성장률을 2.4%로 전망했다. 이는 올해 한경연의 성장률 전망치 2.7%보다 0.3%p 낮은 것이다. 한경연은 극심한 내수 부진과 수출증가세 둔화가 내년 국내 성장흐름 약화를 주도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미 둔화추세에 진입한 설비투자는 기존 증설설비에 대한 조정, 성장둔화에 따른 설비증설 유인부족, 금리상승에 따른 자금조달 부담상승 등으로 내년에는 둔화폭이 올해 -1.5%에서 -2.0%으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했다. 건설투자는 정부의 강도 높은 부동산 억제정책과 사회간접자본(SOC) 예산 감축으로 증가율이 -4.5%까지 크게 위축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한경연은 올해 경제성장을을 이끈 수출부문도 증가세가 다소 둔화될 것으로 예측했다. 한경연 관계자는 "미국을 제외한 주요 수출상대국들의 성장률 둔화, 미·중 무역갈등의 장기화, 반도체 단가의 하락세 등 교역조건 악화가 수출증가율 둔화의 주요한 배경"이라고 설명했다. 또, 민간소비는 정부의 지속적인 소득지원 정책에도 불구하고 소비심리 악화, 가계부채원리금 상환부담 증가, 자산가격 하락의 영향으로 올해보다 0.3%p 감소한 2.4% 성장에 그칠 것으로 점쳐졌다. 고용부진으로 취업자수의 급감 역시 소비위축의 요인으로 지적됐다.

내년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올해 1.5%와 유사한 1.6%를 기록할 것으로 내다봤다. 인건비의 큰 상승에도 성장세 둔화로 낮은 수요압력, 서비스 업황부진, 가계부채·고령화 등의 구조적 원인이 물가상승에 대한 하방압력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했다. 경상수지는 주요 수출국 경기둔화와 교역조건 악화의 영향으로 상품수지의 흑자폭이 줄어드는 가운데 서비스수지의 적자가 확대되고 이전소득 수지가 악화되면서 올해에 비해 42억달러 감소한 630달러 수준에 그칠 것으로 전망했다. 원·달러 환율은 1155원으로 올해 평균환율(1089원)에 비해 소폭 절하될 것으로 봤다.

한경연 관계자는 "내년 경제는 대내적으로는 자산가격 급락, 고용시장 악화로 소비심리 위축, 노동시장 유연성 약화에 따른 생산성 하락이 예상된다"며 "대외적으로는 반도체단가 급락, 국제자본시장 불확실성 증대, 무역마찰 장기화로 교역조건 악화 가능성 등이 성장의 하방리스크로 작용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cgapc@fnnews.com 최갑천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