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김동연 부총리 “소득주도성장·혁신성장, 정쟁된 것 부인 못해…경제주체의 결단 필요”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전자신문

김동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경제 라운드테이블을 주재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김동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19일 “소득주도성장이냐 혁신성장이냐, 분배냐 성장이냐가 생산적 토론이었지만 정쟁이 된 것도 아주 부인할 수 없다”고 말했다.

김 부총리는 이날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열린 혁신성장 '경제 라운드테이블' 이후 기자들과 만나 “지난 1년 반 동안 우리 경제가 나아갈 길에 대한 거대담론 토론은 충분했다고 생각한다”며 이렇게 말했다.

김 부총리는 “충분한 논의와 토론이 있었다고 생각하고 실질적으로 성장하기 위해 가야 할 현실적인 길을 찾아야 한다”며 “책임 있는 결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책임 있는 결단의 주체와 관련해선 “경제주체 전부”라며 “정부도 부처 간 이견이 있지만 경제 앞길을 생각해야 하고 여야 정치권을 포함해 적극적인 결단을 해야 한다”고 밝혔다.

앞서 경제 라운드테이블 모두발언에서 “창업벤처 뿐 아니라 교육개혁, 노동시장 구조개혁 등을 포함한 경제사회 전반적 변화가 필요하다”고 언급한데 대해서는 “궁극적으로 노동시장 유연성까지 포함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김 부총리는 “노동시장 문제는 수요와 공급, 시장 그 자체까지 세 가지 문제”라며 “노동시장 자체에는 개혁이 필요하지만 거기(유연성 확대)까지 가기에는 노동시장 안정성이 취약하다”고 설명했다.

이어 “미흡한 노동시장 안정성을 끌어올리는 정책적 노력을 해야 한다”며 “이후 유연성까지 테이블에 올려놓고 하는 사회적 타협이 있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앞서 경제 라운드테이블에서 참가자들은 지속적인 혁신성장 정책 추진을 당부했다.

이재웅 혁신성장본부 민간본부장(쏘카 대표)은 “혁신성장의 아젠다화에는 성공했다”며 “이제부터가 본격적 시작이다. 앞으로 힘을 합쳐 어려움을 극복하자”고 말했다.

권도균 프라이머 대표는 “혁신성장은 장기적 측면에서 구조개혁 문제 뿐 아니라 단기적 측면에서 스타트업 등을 통해 일자리 문제의 해법이 될 수 있다”며 “지금과 같은 정책이 지속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박정호 혁신성장 옴부즈만(SK텔레콤 사장)은 “우리 국민은 경쟁력이 있는 만큼 긴 호흡으로 혁신성장을 추진하면 우리나라가 글로벌 경쟁에서 승자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유선일 경제정책 기자 ysi@etnews.com

[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재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