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7 (월)

얼굴인식 기술활용해 실종아동 찾는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 과기정통부,산업부,경찰청, 복합인지기수개발사업 착수

[디지털데일리 채수웅기자] 지능형 CCTV, 다양한 첨단 얼굴인식기술 등을 활용해 실종아동이나 치매환자의 신속한 신원확인과 안전한 귀가를 돕는 기술개발이 추진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유영민)와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성윤모), 경찰청(청장 민갑룡)은 과학기술과 정보통신기술(ICT)을 활용, 국민생활문제를 실질적으로 해결하는 국민생활연구 일환으로 '실종아동 등 신원확인을 위한 복합인지기술개발사업'을 추진한다고 12일 밝혔다.

2017년 기준 실종아동 수는 연간 2만여명, 치매환자‧지적장애인 등의 실종자 수는 연간 1만9000여명으로 매년 실종인원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반면, 실종현장에서의 탐문수사 등 현재 대응체계만으로는 정확한 현장정보의 파악이나 대응에 한계가 있어 과학기술과 정보통신기술(ICT)을 활용한 보다 근원적인 대책이 필요한 상황이다.

복합인지기술이란 대상자의 현재 얼굴뿐만 아니라 시간, 행동, 장소 등 변화하는 정보를 종합적으로 인식하고 서로 연결해 보다 빠르고 정확하게 신원을 확인하는 기술을 말한다. 실종자의 이동 경로를 예측하고 위치를 추적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기 실종자의 경우에는 나이를 변환해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등 실제 치안현장의 문제해결에 폭넓게 적용이 가능하다.

이에 과기정통부, 산업부, 경찰청은 향후 5년간 총 320억원(과기정통부 200억원, 산업부 60억원, 경찰청 60억원)의 예산을 투입, 복합인지 핵심 원천기술을 개발해 현장 출동경찰이 활용하는 착용기기나 통합관제시스템 등에 실증하는 한편, 실제 활용을 위해 법제도 정비, 민간기업 기술이전 등을 함께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이와함께 복합인지기술개발사업의 적용확산을 위해 안양시(시장 최대호)와 안양동안경찰서(서장 김진태)가 기술개발 초기부터 참여해 다양한 현장 의견들이 기술개발 전 과정에 반영될 예정이다.

과기정통부산업부경찰청 관계자는 '실종아동이나 치매환자 등 사회적 약자들이 보다 안전하게 생활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은 정부가 최우선적으로 추진해야 할 과제 중 하나'라며 '과학기술과 ICT를 활용해 일상 생활현장에서 국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성과가 창출되도록 부처 간의 유기적 협업을 바탕으로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채수웅 기자>woong@ddaily.co.kr

-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