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30 (일)

이슈 강제징용 피해자와 소송

아베 "징용이 아니라 모집에 응한 것...모든 선택지로 대응"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는 1일 한국 대법원의 강제징용 배상 판결과 관련, ‘징용공’ 대신 ‘한반도 출신 노동자’ 문제라는 표현을 쓰면서 모든 수단을 사용해 대응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경향신문

아베 신조 일본 총리. |로이터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아베 총리는 이날 NHK로 생중계된 중의원 예산위원회에서 “구(舊) 조선반도(한반도) 출신 노동자 문제는 1965년 한·일 청구권 협정으로 완전하고 최종적으로 해결됐다”며 “국제 재판을 포함해 모든 선택지를 시야에 두고 의연하게 대응할 것”이라고 밝혔다.

아베 총리는 특히 “정부는 ‘징용공’이란 표현이 아닌 ‘구 한반도 출신 노동자 문제라고 말하고 있다”면서 “당시 국가총동원법 국민징용령에는 모집과 관 알선, 징용이 있었고, 이번 재판에서 원고의 표명은 모집에 응했다는 것이었다는 점에서 한반도 출신 노동자 문제라고 말하게 된 것”이라고 주장했다. 일본 정부가 그간 사용해온 ‘징용공’이라는 단어에는 강제동원이라는 의미가 들어 있는 만큼 부정적 이미지를 희석시키는 동시에 ‘모집’에 따른 합법성을 강변하려는 것으로 풀이된다.

아베 총리는 “한·일 사이의 곤란한 과제를 관리하기 위해선 일본 측 뿐만 아니라 한국 정부의 노력도 필요하다”며 “이번 재판에 대한 한국 정부의 전향적인 대응을 강하게 기대한다”고 말했다. 그는 “지난 9월 유엔총회시 문재인 대통령과의 회담을 비롯해 다양한 기회를 통해 미래지향적 한·일관계 구축을 위해 협력하기로 확인했다”면서도 제주 국제관함식의 자위함기(욱일기) 게양 문제, 한국 국회의원 독도 방문, 이번 대법원 판결을 거론한 뒤 “이에 역행하는 듯한 움직임이 이어져 매우 유감”이라고 말했다.

도쿄|김진우 특파원 jwkim@kyunghyang.com

▶ 경향신문 SNS [트위터] [페이스북]
[인기 무료만화 보기]
[카카오 친구맺기]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