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5 (화)

“북미, 중간선거 이후 뉴욕서 고위급 회담 개최 협의중”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헤럴드경제

[사진=미 국무부 제공]


-‘열흘 안’ 회담 열자던 폼페이오, 일정 미뤄

-北김영철 방미 가능성

[헤럴드경제=문재연 기자] 10월 말~11월 초 열릴 것으로 예상됐던 북미 고위급 회담이 미국의 중간선거(11월 6일) 이후로 조율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교 소식통은 30일 “중간선거 이후 뉴욕에서 북미 고위급 회담이 개최되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며 “당초 10월 말 열릴 것으로 예상됐으나, 미측에서 시기를 중간선거 이후로 재조정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 밝혔다.

앞서 폼페이오 장관은 지난 19일(현지시각) 북미 정상회담을 ‘열흘 안’에 진행하고 싶다는 의사를 ‘미국의소리’(VOA) 방송과의 인터뷰에서 밝혔다. 또 ‘여기’(here)라는 표현을 사용하며 회담 장소로 미국을 꼽았다.

폼페이오 장관의 카운터파트로는 북한 김영철 노동당 중앙위 부위원장 겸 통일전선부장이 방미길에 오를 것으로 관측된다. 소식통은 “폼페이오 장관의 카운터파트는 김 부위원장이 계속 맡을 것”이라며 “제2차 북미정상회담 일정과 개최 장소, 의제에 대한 틀을 잡을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김 부위원장은 앞서 지난 6ㆍ12 북미정상회담 앞두고 폼페이오 장관과의 고위급 회담을 위해 뉴욕 유엔대표부와 워싱턴 D.C.에 있는 백악관을 방문한 바 있다. 김 부위원장은 당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특사자격으로 친서를 트럼프 대통령에게 전달하기도 했다. 김 부위원장은 폼페이오 장관과 총 3차례 고위급 회담을 실시했다.

폼페이오 장관은 김 부위원장과의 고위급 회담에서 풍계리 핵실험장과 동창리 미사일엔진 시험장, 영변 핵시설의 폐기 및 검증에 관한 북측의 선제적 조치를 요구할 것으로 관측된다. 폼페이오 장관은 앞서 지난 7일 4차 방북 당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에게 대북제재 완화가 이뤄지기 위해서는 북한의 핵ㆍ미사일 물질에 대한 전체적 신고와 비핵화 로드맵에 대한 합의가 이뤄져야 한다는 입장을 피력한 것으로 전해졌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도 지난달 유엔총회 계기 기조연설에서 ‘선(先) 비핵화’ 원칙을 강조한 바 있다.

한편, 북측은 폼페이오 장관이 9월 평양공동선언 발표 직후 제안한 ‘오스트리아 빈에서의 북미 실무협상’에 대해 부정적 기조를 견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오스트리아 빈은 핵물질 등에 대한 검증을 주업무로 하는 국제원자력기구(IAEA)와 포괄적핵실험금지조약(CTBTO) 본부가 있는 곳이다. 지난 25년 간 북한 핵협상이 사찰 및 검증 부분에서 깨져온 점을 고려하면 핵ㆍ미사일 시설에 대한 검증요소가 부각되는 것을 막기 위해 실무협상에 적극적으로 나서지 않고 있는 것으로 관측된다.

이러한 가운데, 북미 실무협상 총괄자인 스티브 비건 미국 국무부 대북정책특별대표는 29~30일 일정으로 한국을 방문해 정부와 한반도 비핵화 및 평화정착에 대한 구체적 방안을 협의했다. 비건 특별대표는 이번 방한에서 이례적으로 임종석 대통령 비서실장과의 면담까지 요청하며 문재인 정부의 ‘남북관계 사업 과속’을 경계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munjae@heraldcorp.com

- Copyrights ⓒ 헤럴드경제 & heraldbiz.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