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8 (화)

SK텔레콤, 에릭슨·노키아 - 삼성전자 5G 연동문제 풀었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5G 장비사 선정 후 발빠르게 3사 장비 연동 돌입 … 한달여 만에 연동 성공

삼성 교환기 범위 내 노키아 · 에릭슨 기지국 설치 가능 … 망 구축 효율 상승

에릭슨 · 노키아 5G 기지국을 삼성 교환기와 연동해 ‘퍼스트콜’ 완료

[이데일리 김현아 기자]
이데일리

SK텔레콤은 24일 분당사옥 5G테스트베드에서 삼성전자 5G NSA(논스탠드얼론 ; 5G-LTE복합규격) 교환기와 노키아 · 에릭슨 5G 기지국 연동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SK텔레콤(대표이사 사장 박정호, www.sktelecom.com)이 각기 다른 제조사 5G 장비를 연동해 하나의 5G네트워크를 구축하는 과제를 해결했다.

SK텔레콤(017670)은 24일 분당사옥 5G테스트베드에서 삼성전자 5G NSA(Non-standalone ; 5G-LTE복합규격) 교환기와 노키아 · 에릭슨 5G 기지국 연동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데이터 통신은 ‘단말기 ’ 기지국 ‘ 교환기 ’ 인터넷‘ 단계를 거친다. 기지국과 교환기의 제조사가 다를 경우, 이동통신사에서 서로의 장비를 연동해 품질을 최적화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지난 해부터 서로 다른 제조사 5G 장비의 연동 품질을 높이는 기술 및 규격(Interoperability)을 AT&T, 오렌지 등 글로벌 통신사들과 함께 개발해왔다. 지난 달 14일 5G 장비제조사 3사 선정 이후 본격적으로 삼성전자, 노키아, 에릭슨의 5G 장비간 연동 기술 적용 · 시험에 돌입해 한달여 만에 성과를 거둘 수 있었다.

이번 연동 성공으로 SK텔레콤은 노키아 · 에릭슨 5G 기지국을 삼성전자 교환기 관할 범위 내에 설치할 수 있게 됐다. 5G네트워크를 보다 유연하고 효율적으로 구축할 수 있다.

이번 연동에 활용한 5G NSA(Non-standalone) 교환기는 SK텔레콤과 삼성전자가 특별히 개발한 상용 장비다. 이론적으로 5G NSA 규격에서는 기존 LTE교환기에 5G 기능을 추가해 5G망을 구축할 수 있다. 더 나아가 SK텔레콤은 5G 서비스에 최적화된 NSA 전용 교환기를 추가 설치해 5G 안정성과 품질을 높이는 방식을 택했다.

24일 SK텔레콤은 삼성전자 5G 교환기 - 노키아 · 에릭슨 5G 기지국을 연동해 데이터 송수신 모든 과정을 상용 환경에 맞춰 검증해보는 ’퍼스트콜‘도 완료했다.

이데일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SK텔레콤 박진효 ICT기술원장은 “같은 제조사 장비를 쓰더라도 통신사의 기술 수준과 준비 속도에 따라 상용 품질 차이가 크게 날 수 있다”며, “여러 단계에서 앞서 가고 있는 만큼 상용화 전까지 품질 최적화에 더 많은 노력을 기울일 것”이라고 밝혔다.

박 원장은 지난 23일 홍콩 ’퀄컴 4G/5G 서밋‘에서 기조연설자로 나서 5G 전략 및 비전을 발표했다. 양자암호통신, 가상현실, 자율주행 등 5G 핵심 기술 및 서비스를 소개하며 글로벌 5G 관계자들과 협력 방안을 모색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