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30 (일)

국내 최초 반도체 실험실 30주년 맞아···국내 ICT 수출 앞장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한국 수출의 버팀목인 반도체를 국내에서 처음으로 연구한 실험실이 창립 30주년을 맞았다.

16일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에 따르면 반도체 실험실은 1988년 ‘실리콘 실험실’로 문을 연 이후 반도체·통신·디스플레이 분야에서 국내 정보통신기술(ICT) 개발을 주도했다.

실험실은 개소 이듬해 삼성반도체통신, 금성반도체, 현대전자가 공동으로 참여해 국내 최초로 4M·16M·64M DRAM 개발에 성공했다.

1994년에는 국내 최초로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를 개발해 초고속 정보통신 분야 초석을 마련했다.

CDMA 단말기용 아날로그 주문형반도체, 광통신용 칩 같은 초고속 통신 부품, 지상파 DMB 수신 시스템온칩 역시 ETRI 반도체 실험실을 거쳐 탄생했다.

경향신문

반도체실험실의 반도체 소자분석 장비를 이용한 소자평가. ETRI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2006년엔 세계 최초로 투명한 능동형 유기발광다이오드(AMOLED) 기술을 구현했다. 컬러필터 없는 컬러 전자종이, 투과와 반사가 동시에 일어나는 디스플레이(LASA), 실리콘 포토닉스 기술 등도 최초 개발했다.

이런 성과물들은 우리나라를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강국의 반열에 올려놓는데 혁신적인 기여를 했다. 개발이 완료된 기술들은 국내 기업에 이전돼 상용화를 거쳐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수출 효자 상품으로 성장했다.

경향신문

ETRI가 주관하여 국내 3사(삼성, 현대, 금성)와 공동개발한 국내 최초 4MDRAM 시제품(1989년도)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한 경제적 파급효과는 직접 효과 48조원·간접 효과 15조원에 이르는 것으로 ETRI는 분석했다.

연구원은 실험실 창립 30주년을 기념해 17일 융합기술연구생산센터에서 기념 워크숍을 연다. 지난해 1조원 클럽에 가입한 ETRI 동문 기업 AP시스템과 반도체 실험실 위상을 높인 알에프세미에 각각 감사패를 준다.

아울러 반도체공동연구소장인 이종호 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 교수가 차세대 반도체 기술 동향에 대해 발표한다.

엄낙웅 ETRI ICT소재부품연구소장은 “앞으로도 반도체 실험실이 대한민국 ICT 산업 성장을 견인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주영재 기자 jyj@kyunghyang.com

[경향비즈 바로가기], 경향비즈 SNS [페이스북]
[인기 무료만화 보기][카카오 친구맺기]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