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5 (화)

아시아인 73%, 세계 지도국가로 미국 원해…중국은 12%뿐

댓글 2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중국, 세계인의 호감 얻을 '소프트 파워' 부족"

연합뉴스

美·中 신냉전 패권 다툼…격랑 속으로(CG)
[연합뉴스TV 제공]



(홍콩=연합뉴스) 안승섭 특파원 = 중국의 급속한 강대국 부상에도 불구하고 아시아인의 대부분은 세계를 이끌 지도국가로서 중국이 아닌 미국을 원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13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미국 여론조사 기관인 퓨리서치센터가 한국, 일본, 필리핀, 인도네시아, 호주 등 5개국 국민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73%가 미국이 세계의 지도국가가 되는 것이 더 나을 것이라고 답했다.

반면에 중국이 세계의 지도국가가 되는 것이 더 나을 것이라고 답한 응답자는 12%에 불과했다.

5개국 중 세계의 지도국가로서 미국을 원한 응답자의 비율이 가장 높은 나라는 일본으로 81%에 달했다.

그 뒤를 필리핀(77%), 한국(73%), 호주(72%), 인도네시아(43%) 등이 이었다.

25개국 국민을 대상으로 한 더 넓은 범위의 설문조사에서도 미국을 세계의 지도국가로서 택한 응답자의 비율이 63%에 달했고, 중국은 19%에 그쳤다.

다만 튀니지는 중국을 세계의 지도국가로 원한 응답자의 비율이 64%로 미국(26%)을 훨씬 앞섰다.

아르헨티나도 미국(33%)보다 중국(35%)을 세계 지도국가로 택한 응답자의 비율이 더 높았다.

전문가들은 중국의 급속한 국력 증대에도 불구하고 '소프트 파워'의 부족으로 인해 세계인의 호감을 끌어내지 못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미국의 역사학자 조지프 나이가 처음 사용한 용어인 소프트 파워는 군사력이나 경제력 등 물리적 힘(하드 파워)이 아닌 예술, 학문, 교육, 문화, 민간교류 등 무형의 힘으로 한 나라가 다른 나라에 미치는 영향력을 말한다.

실제로 이번 조사에서 응답자의 51%는 미국이 더 개인의 자유를 존중한다고 답했으며, 중국이 개인의 자유를 더 존중한다고 답한 응답자는 37%에 그쳤다.

아시아 소사이어티 정책연구소의 케빈 러드 소장은 "중국이 동아시아에서 지배적인 경제적 영향력을 행사하지만, 미국에 대한 호감도가 훨씬 높았다"며 "소프트 파워 측면에서 볼 때 중국은 시민의 자유를 보호한다는 이미지를 갖고 있지 못하다"고 지적했다.

ssahn@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