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한국당이 띄운 보수통합, 인적청산 대신 ‘태극기’ 품나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경향신문

자유한국당 김병준 비상대책위원장(왼쪽에서 세번째)과 김성태 원내대표(왼쪽 두번째), 김용태 사무총장(오른쪽) 등 지도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자유한국당이 연일 ‘보수통합론’을 띄우고 있다. 장외 보수 인사들 영입에도 잰걸음으로 나서고 있다. 명분은 “문재인 정권 견제”를 위한 ‘범보수 대연합’이다. 하지만 시시각각 다가오는 21대 총선(2020년 4월)을 겨냥한 ‘보수 판짜기’ 속내가 더 짙다. ‘외부의 적’(문재인 정권)에 대항한 단일대오를 앞세우지만, 보수 내부 주도권 다툼의 서막이 오르고 있는 것이다.

당장 ‘보수개혁’을 기치로 경쟁하는 바른미래당은 한국당의 통합론에 눈을 흘긴다. 특히 영입전이 ‘태극기세력’을 포함한 ‘반문 끌어모으기’로 흐르면서 탄핵 반성조차 퇴색할 수 있다는 비판이 제기된다. 마땅한 유력 대권주자, 즉 정치적 구심이 약한 한국당의 고민이 드러난 것이란 풀이도 나온다.

일단 한국당의 대통합은 무차별 영입론에 가깝다. 김성태 원내대표는 12일 국정감사대책회의 후 기자들과 만나 “보수가 분할돼선 문재인 정권을 견제하지 못한다”며 “범보수 결집을 통해 맞서 싸우는 일이 가장 중요하다. 어떤 격식과 형식에 구애받아선 안된다”고 말했다. 조직강화특별위원회 위원인 전원책 변호사도 전날 “(조강특위가) 가급적 많은 사람의 뜻을 수용해야 보수 단일대오가 가능하다”며 인적쇄신의 주요 기준이 보수통합이란 점을 분명히 했다.

실제 다양한 영입 시도도 나타나고 있다. 한국당은 황교안 전 국무총리, 원희룡 제주지사, 오세훈 전 서울시장 등의 입당을 추진 중이다. 황 전 총리는 박근혜 전 대통령 지지층에 인기가 있고, 원 지사와 오 전 시장은 비박계로 분류된다.

김병준 비상대책위원장은 전날인 11일 기자들과 만나 “쇄신이나 청산, 이런 것보다는 좋은 인물을 얼마나 많이 받아들이느냐에 주안점을 두고 있다”며 ‘인재 영입’을 강조했다.

한국당의 ‘통합 드라이브’는 이대로는 1년6개월 남은 21대 총선을 치를 수 없다는 위기감이 배경이다. 당 지지율은 최근에도 각종 여론조사에서 20%대를 넘는 경우가 드물다. 황 전 총리와 원 지사, 오 전 시장 등 보수층 지분을 조금이라도 가진 주주들을 모두 끌어모아야 지지층 결집도 노릴 수 있고, 보수 주도권 경쟁에도 대비할 수 있다는 계산인 것이다. 경쟁 대상인 바른미래당도 지지율이 부진하긴 마찬가지지만, 유승민 전 대표가 여론조사에서 보수진영 대권주자로 가장 앞서는 등 잠재력이 만만찮다.

경향신문

황교안 전 국무총리. 경향신문 자료사진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런 탓에 당장은 대통합의 길이 험난하다. 바른미래당 손학규 대표는 이날 기자들과 만나 “신사의 정치, 정도의 정치를 해야 한다”며 “한국당은 제대로 된 보수를 대표할 자격이 없다. 박 전 대통령을 만든 한국당은 다음 총선에서 없어져야 할 정당”이라고 통합론을 일축했다. 하태경 최고위원은 전 변호사를 향해 “구태 공작정치를 중단하라”고 비판했다.

또 한국당의 반문 끌어모으기식 통합은 약점도 분명해 순항 여부는 미지수다. 친박계와 가까운 황 전 총리를 영입할 경우 과거 탄핵 반성의 진정성이 의심받을 수 있다. 황 전 총리는 지난달 유기준·윤상현·김진태 등 친박계 의원들을 만난 데 이어 다음달에도 몇몇 의원들과 모일 것으로 알려졌다. 친박계가 다시 당내 구심을 만들면 현재 비박계 지도부에도 부담이 될 수 있다.

통합을 명분으로 인적쇄신이 무산될 가능성도 거론된다. ‘물갈이 전권’을 쥔 전 변호사만 해도 “인적쇄신이 무조건 사람을 쳐내는 게 아니다”(4일), “이것 빼고 저것 빼면 이 당에 뭐가 남느냐”(11일)고 했다. 청산 대상으로 지목돼온 친박계, 김무성 의원 등 비박계, 홍준표 전 대표 등이 어정쩡한 담합 상태에서 차기 당권을 겨루는 ‘춘추전국시대’가 열릴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허남설 기자 nsheo@kyunghyang.com

▶ 경향신문 SNS [트위터] [페이스북]
[인기 무료만화 보기]
[카카오 친구맺기]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