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9.25 (수)

글로벌경제를 보는 옐런의 시각 "미국, 금리 올릴 때 신흥국 리스크도 감안한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 제19회 세계지식포럼 ◆

매일경제

재닛 옐런 전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 의장은 "미국 연준이 금리를 인상할 때 신흥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도 고려하고 있다"며 미국 금리 인상 최대폭이 3%대 초반에 머물 것임을 시사했다. 미·중 무역갈등이 궁극적으로 양국 통화전쟁으로 이어질 가능성은 낮게 봤다. 지난해 세계적인 붐을 일으킨 가상화폐가 중앙은행 시스템을 위협하는 것에 대해서는 "아주 먼 얘기"라고 말했다.

옐런 전 의장은 '옐런과의 대화' 세션에서 신제윤 전 금융위원장이 '미국은 실업률이 7%에서 4%로 떨어지는 등 호시절을 보내고 있지만 미국 금리 인상으로 인해 신흥국 위기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어 연준이 모순 속에서 의사결정을 해야 한다'고 지적한 데 대해 "연준이 다음 경기침체를 피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미국만 보더라도 인플레이션과 고용의 상관관계가 높지 않아 금리 인상 부담이 작고, 세계 경제도 일부 리스크는 있지만 위기로 이어지지는 않을 것이란 진단이다. 그는 "세계 경제 성장은 견고하다"며 "일부 리스크가 있어도 좋은 시절은 계속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연준이 이 같은 판단 아래 현재 2.25%인 기준금리 상한을 앞으로 3~4차례 더 올릴 것이라고 내다봤다. 2020년까지 3% 초반대까지 올릴 수 있다는 시장의 시각과 비슷한 셈이다. 그는 또 "많은 경제학자가 말하는 선진국의 정상금리는 역사적 평균보다는 낮을 것으로 본다"며 "금리가 과거처럼 5~6%대까지 올라가지는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연준이 금리 인상을 결정할 때 신흥국 위기 가능성을 너무 간과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에는 "연준의 통화정책 의사결정이 글로벌 경제에 영향을 미치고, 다시 역으로 글로벌 경제가 미국에 영향을 미칠 수 있어 연준도 이를 고려한다"며 "2015년에 미국 경제가 잘 회복되고 있었지만 신흥시장 변동성이 커지며 미국 경제에 영향을 줄 우려가 있어 그해 말에나 금리를 올렸다"고 말했다.

김중수 전 한국은행 총재가 "연준이 결정할 때 신흥국 위기 전염 가능성을 어느 정도 고려하느냐"고 질문하자 그는 "연준도 (다른 나라가 갖고 있는) 달러 표시 부채를 고려한다"며 "신흥시장 변화에 대해 많은 브리핑을 받는다"고 대답했다.

미·중 간 무역전쟁이 세계 경제의 가장 큰 리스크라고 지적한 그는 다만 통화전쟁 가능성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시각을 내비쳤다. 옐런 전 의장은 "위안화 가치가 최근 몇 달 새 평가절하됐던데, 이는 환율 조작이 아니라 중국 경제 성장 둔화 때문으로 본다"며 "미·중 무역 갈등이 중국 성장률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위안화 하방압력은 자연스러운 일"이라고 말했다. 한마디로 양국 모두 '말싸움'만 할 뿐, 의도적으로 자국 통화가치를 낮추는 본격적인 통화전쟁에 돌입할 가능성은 낮다는 말이다.

최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연준의 연속적인 금리 인상에 대해 "연준이 미쳤다"고 발언한 데 대해서는 "연준은 미치지 않았다"고 맞받아쳤다. 그는 "제롬 파월(현 의장)에 대해 상당한 신뢰를 갖고 있다"며 "비정치적인 입장에서 물가와 고용 목표 달성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1994년 연준의 금리 인상에 대해 우려가 있었을 때 루빈 당시 백악관 국가경제회의 보좌관이 빌 클린턴 대통령에게 '경제 이익에 부합되지 않고, 클린턴 행정부에 좋지 않지만 연준을 비판하는 건 옳지 않다'고 말했다"며 "연준은 독립적이고, 그 같은 독립성으로 더 나은 성과를 내왔다"고 덧붙였다.

이어진 매일경제와의 단독 인터뷰에서 '지난해 전 세계적으로 열풍이 분 비트코인 등 가상화폐가 중앙은행을 위협할 존재가 될 수 있다'는 지적에 대해 "연준은 은행권에 제공하는 금리를 설정하면서 시중금리를 통제한다"며 "소매시장에서 어떤 통화를 쓰느냐는 별 영향이 없다"고 말했다. 또 "가상화폐가 훨씬 발전하고 확산돼 은행의 탈중앙화를 위협할 정도가 되려면 갈 길이 멀다"고 덧붙였다.

[조시영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